한글 필기체 한글 필기체

제가 중학교 시절 만들어서 20년 넘게 일상 생활에서 써 온 한글 필기체입니다.

중학교부터 대학시절까지 수업시간에 필기용으로도 쓰고 요새는 주문할 때도 사용하고 매일 같이 사용합니다.

첫번째 그림은 대한민국을 쓴 거고( 이 네 글자는 실은 마우스로 그린 겁니다 )

두번째 그림은 한글 자모에 대응해서 적은 것이고 세번째는 충무공의 시조를 적은 것입니다. 음.. 원래 좀 악필입니다.

원래 끊어짐 없게 만들었는데 한글의 특성인 모아쓰기 때문에 너무 복잡해져서 한자의 초서나 아라비아 문자 수준으로 후퇴한 결과입니다. 영어처럼 풀어쓰기라면 거의 끊어짐 없이 무리 없이 할 수 있겠지요.







덧글

  • 아이솔 2008/03/28 17:20 # 삭제 답글

    한글 풀어쓰기에 대한 이야기는 주시경과 최현배에 의해서 주장되었던 걸로 기억이 나는군요. 필기체가 가능해서 효율적이라고 한다나... 다만, 글자를 알아보기가 꽤나 힘든 편이고, 풀어쓰기를 할 수 있도록 고친 한글 자모음이 영어의 알파벳을 따오는 등의 문제가 반발을 일으켰다고 하지요.


    글자를 직접 고안하시는 걸 보면 한글에 대한 사랑이 남다르신 것 같네요. ^^
  • 뽀도르 2008/03/28 17:42 # 답글

    예.. 저도 예전에 한글 풀어쓰기 한 걸 보기도 해고 직접 고안도 해봤는데, 익숙치 않아서 그런지 일단 모아쓰기보다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예전에 어느 중국학자가 영어로 된 문서를 보고 평했듯이 한자나 모아쓰기 한글에 비하면 풀어 쓴 로마자나 한글 알파벳은 뭐랄까 모르스 부호처럼 단조롭게 보인다지요.
  • 해밀 2008/06/13 01:13 # 답글

    악필이기는 하시네요. ㅋㅋ
  • 중궈 2021/05/16 19:37 # 삭제

    .
  • 미르 2009/02/19 12:18 # 삭제 답글

    고등학교때 말꼴인가하는 한글약어체를 접한적이 있는데
    당시 배워보려고도 했던 기억이 나네요

  • 아야소피아 2009/02/26 21:29 # 답글

    참 독창적이네요^^ 좀더 가다듬으면 진짜 폰트 하나 나올만 하네요.. 근데 어떤 글자는 아랍글자 비슷하기도 하고..
  • 뽀도르 2009/02/27 10:46 #

    아라비아 문자를 보고 영감을 얻긴 했지요 ㅋㅋㅋ 중학교 시절에 본 아라비아 문자가 제일 멋있더만요.
    도스 쓰던 시절에 저런 폰트를 시도해보긴 했는데, 해상도가 낮아서 힘들었습니다.
  • 돌고래 2009/03/23 22:15 # 삭제 답글

    아시겠지만, 한글 모음을 만드는 기본 모음은 ・과 ㅡ와 ㅣ 을 가지고 조합을 하는 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님이 만드신 한글 필기체에는 천지인의 기본 창제원리가 나타나있지 않아 보는 사람이 그다지 유쾌하지만은 않습니다. 천과 지와 인은 마땅히 기본 모음 하나하나로서 구분이 되어야 하는데 그것을 하나로 압축하여 나타내는 것은 한글의 기본 창제 원리를 뿌리째 부정하는 것이라고까지도 정의할 수 있겠지요.

    이것은 한글 필기체다 하고 정의하기보다는 그냥 '다른 문자체계 하나를 이룩했다'(한글처럼 초.중.종성을 갖고 있는 문자는 세계에 한글 외에 없습니다만 거기에 하나를 더 추가한다는 생각으로) 라고 정의하는 것이 낫다 하는 생각까지도 드네요.

    모음 외에 자음에서도 그 문제는 드러납니다. 가령 'ㅈ'을 예로 들었을 때, 'ㅅ'의 위에 한 획을 추가하여 만든 글자가 'ㅈ'인데 님이 만든 글자에서는 'ㅅ'과의 연관성을 전혀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그냥 개인의 한 생각이니 너무 기분나빠 하지 마시고, 충고로서 받아들여주시기 바랍니다.
  • 뽀도르 2009/06/08 09:18 #

    감사합니다. 저런 필기체에서 천지인을 표현하기는 용이치 않더군요. 인쇄체와 필기체는 크게 다를 수 밖에 없어보입니다.
  • 카이사르 2009/06/08 02:20 # 삭제 답글

    한글보다는 외국어 느낌이네요 ^^; 하하 나쁜뜻은 아니니 기분 나빠하진 마셨으면 해요.
  • 뽀도르 2009/06/08 09:19 #

    외국어 느낌도 나쁘진 않습니다^_^)
  • 뷁뷁 2009/10/18 19:42 # 삭제 답글

    헉!!!
    못외우겠는데... 무슨 日本語(일본어)같아...(한자는 유식해보일려고...하하하)
    전 일본어사전을 가지고 올뻔함...
  • 뽀도르 2009/10/19 09:26 #

    ㅋㅋㅋ
  • seong0609 2009/11/25 16:15 # 삭제 답글

    안녕하세요. 전 중1짜리인데요.
    저도(물론 남자) 글씨에 관심이 많아 이것저것 뒤지다가 이싸이트를 찻았는데
    우연히 이 글씨체를 보고 막 따라하게 되었습니다.ㅋㅋㅋ
    그리고 한 1,2주정도 되니깐 물론 속력은 떨어 져도 완성되었습니다.^^
    님 정말 감사합니다.
  • 뽀도르 2009/11/26 09:54 #

    ㅋㅋ 감사합니다. 널리 전파되기를...
  • 와우 2010/05/10 21:14 # 삭제 답글

    이야...
    언뜻 보면 아랍어 ㅎㅎ
    자세히 보지 않으면 알아보기 힘들어요 ㅜㅜ
    (나쁜 뜻은 아닙니다 ㅎㅎ)

    자신만의 글씨체.. 대단하세요 ^^
  • 뽀도르 2010/05/11 10:37 #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가독성은 떨어지지만 익숙해지면 괜찮습니다.
  • 필기체연구원 2010/06/02 22:02 # 삭제 답글

    이건 아라비아 폰트인가? 아랍어 닮았네
    이게 진짜 필기체같고 한글 필기체를 찾던 중에 이걸 발견 했습니다.
    다음엔 이어쓰기를 하는방법을 올려주세요~ 님이 이어쓰기한걸 보니까 원리가 이해가 안가서말입니다
  • 뽀도르 2010/06/03 10:02 #

    초성 중성은 이어쓰고, 종성은 따로 쓰는 게 원칙입니다. 처음엔 종성도 붙이다가 너무 복잡해져서요. 아랍문자도 다 붙여 쓰지는 않더군요.
  • 궁금이 2014/08/20 22:26 # 삭제 답글

    쌍기역, 쌍시옷 같은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배우고 싶은데 자료가 부족해요.
  • 뽀도르 2014/08/21 09:52 #

    'ㄲ', 'ㅆ' 처럼 두개를 중첩합니다 ㅃ은 '(ㅂ'처럼 조금 간략화해서 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_^)
  • 한국인 2015/08/20 21:54 # 삭제 답글

    우와 악필 본인만 알아 볼 수 있어서 좋아요
    대한만국
  • 한국인 2015/08/20 21:54 # 삭제 답글

    우와 악필 본인만 알아 볼 수 있어서 좋아요
    대한만국
  • 뽀도르 2015/08/21 09:07 #

    학창시절 노트 필기도 이렇게 했습니다;;;;
  • 고생했어요 2017/10/16 07:07 # 삭제 답글

    한글 사랑이 대단하시네요
    서체 하나 완성하는데 보통 5년 걸린다는데.
    무척이나 고생하신 흔적이..
    너무 완벽해요
    세종께서도 분명기뻐하실터..
  • 뽀도르 2017/10/16 08:34 #

    감사합니다^_^)
  • ㅁㄴㅇ 2021/05/21 02:03 # 삭제 답글

    기초가안됀사람이 칭찬을 받았다는게 이해가 안되네.. 훈민정음 시초부터 다시 알아보면 좋을듯ㅇㅇ 너무 ㅈㅈ떄로임
  • 블링블링한 아이스크림 2021/09/06 11:15 # 답글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이 글씨를 폰트로 만들어보실 생각이 있으신가요..보고 너무너무 마음에 들고 멋진 필체여서 폰트로 나온다면 꼭 써보고싶은 마음에 이렇게 적어봅니다..;-;
  • 뽀도르 2021/09/06 11:36 #

    폰트로 만들 역량이 있을지요;;
  • 블링블링한 아이스크림 2021/09/06 12:00 # 답글

    ㅠㅠ...너무 예뻐서..한번 여쭤보게 되었어요 정말 이런 폰트를 처음봐서 감탄만 나오네요 서체 자체가 너무 매력적이에요..
  • ㅇㅇ 2021/10/24 19:20 # 삭제 답글

    잘썼는데 왜 기초가 안됐느니 창제원리가 어쩌니 소리가 나오는건지 모르겠음. 쓰기 편하면 된거지 뭔 창제원리를 따지는거임?
    세종대왕님이 글 만든 이유는 인민들 쓰기 편한 글자 만드는거지 창제원리 따지는 틀딱 만드는게 아닌데
  • skuteczne powiekszan 2022/09/16 19:03 # 삭제 답글

    흥미롭고 가치 있는 콘텐츠가 많다
  • karta moje biedronka 2022/09/17 00:28 # 삭제 답글

    글이 더 자주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