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文삼국지] 제5회: 관우, 술이 식기 전에 화웅을 베다. 원문삼국지 原文三國志

관우 關羽 Guan Yu

第五回:發矯詔諸鎮應曹公 破關兵三英戰呂布

제5회: 조서를 꾸며서 제후가 조조에게 호응하고, 관문의 적병을 격파하고 세 영웅이 여포와 싸우다

卻說陳宮臨欲下手殺曹操,忽轉念曰:“我為國家跟他到此,殺之不義。不若棄而他往。”插劍上馬,不等天明,自投東郡去了。操覺,不見陳宮,尋思:“此人見我說了這兩句,疑我不仁,棄我而去﹔吾當急行,不可久留。”遂連夜到陳留,尋見父親,備說前事﹔欲散家資,招募義兵。父言:“資少恐不成事。此間有孝廉衛弘,疏財仗義,其家巨富﹔若得相助,事可圖矣。”

진궁이 조조를 죽이려 하다 생각을 돌린다.

'나라를 위하여 여기까지 따라왔는데 이제 죽인다면 의롭지 못하다. 차라리 내버려 보내는 것이 나으리라.'

칼을 도로 집어넣고 말 타고  해 뜨기 전 동군으로 향한다. 조조가 깨어나 진궁이 사라진 것을 보고 생각한다.

'그가 내 두 마디에 어질지 못하다고 의심하여 나를 버려두고 갔구나. 서둘러 떠나자. 오래 머물러 될 것이 아니다.'

밤낮으로 진류로 가서 아버지를 만나뵙고 그간 일들을 아뢰며 가산을 풀어 의병을 모으자 하니 아버지가 말한다.

"아무래도 재산이 적어 성공치 못할까 두렵구나. 여기 효렴 출신 위홍 衛弘이란 사람이 있는데 재물을 아낌 없이 쓰며 의리를 받든다 하구나. 집안이 매우 부유하니 도움을 얻으면 대사를 도모할 수 있겠다."

操置酒張筵,拜請衛弘到家,告曰:“今漢室無主,董卓專權,欺君害民,天下切齒。操欲力扶社稷,恨力不足。公乃忠義之士,敢求相助!”衛弘曰:“吾有是心久矣,恨未遇英雄耳。既孟德有大志,愿將家資相助。”操大喜﹔于是先發矯詔,馳報各道,然后招集義兵,豎起招兵白旗一面,上書“忠義”二字。不數日間,應募之士,如雨駢集。

*如雨駢 /여우병집/ 많은 수로 나란히 함께 모여듦

조조가 술자리를 크게 열어 위홍을 초대하여 고한다.

"지금 한실은 주인이 없는데 동탁이 권력을 오로지하고 임금을 업신여기고 백성을 해치니 천하가 이를 갈고 있소. 제가 힘껏 사직을 받들려 하지만 힘이 모자라 한스럽소. 공께서 바로 충의지사 忠義之士이시니 감히 도와 주시기 바라오. "

위홍 답한다.

"제가 그런 마음 가진지 오래이나 영웅을 못  만나 한스러웠소. 맹덕께 큰 뜻이 있으니 가산으로 돕겠소."

조조가 크게 기뻐하고 천자 조서를 꾸며 각지에 말 달려 알리고 의병을 초모한다. 초모하는 하얀 깃발에 충의 忠義 두 글자를 쓴다. 며칠 안 되어 응모하는 사나이들 구름처럼 몰려든다.

一日,有一個陽平衛國人,姓樂,名進,字文謙,來投曹操。又有一個山陽巨鹿人,姓李,名典,字曼成,也來投曹操。操皆留為帳前吏。又有沛國譙人夏侯敦,字元讓,乃夏侯嬰之后﹔自小習槍棒﹔年十四從師學武,有人辱罵其師,敦殺之,逃于外方﹔聞知曹操起兵,與其族弟夏侯淵兩個,各引壯士千人來會。此二人本操之弟兄:操父曹嵩原是夏侯氏之子,過房與曹家,因此是同族。不數日,曹氏兄弟曹仁、曹洪各引兵千余來助。曹仁字子孝,曹洪字子廉:二人弓馬熟嫻,武藝精通。操大喜,于村中調練軍馬。衛弘盡出家財,置辦衣甲旗幡。四方送糧食者,不計其數。

*文謙 /문겸/ 악진의 자
*帳前吏 종군하는 군관/관리.
*子廉 /자렴/ 조홍의 자.
*置辦 /치판/ 구매하다.

어느날 양평 위국 사람으로 성은 악, 이름 진, 자 문겸이 조조를 찾아온다. 또한 산양 거록 사람으로 성은 이, 이름 전, 자만성이 찾아온다.  조조가 모두 거둬 장전리 帳前吏 (군관)로 삼는다. 또한 패국 초 사람으로 성은 하후, 이름 돈, 자 원양이 찾아오니 바로 하후영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창술과 봉술을 익혀 나이 열넷에 스승을 따라 무술을 익히다가 누군가 스승을 욕하자 하후돈이 죽이고 타지로 달아났다. 조조가 의병을 일으키는 것을 듣고 집안 동생 하후연과 함께 각각 장사 일천을 이끌고 온다. 

둘은 본래 조조의 형제다. 조조 부친 조숭이 원래 하후 씨 자손인데 조 씨의 양자가 된 것이니 결국 동족이다. 며칠 안 돼 조 씨 형제 조인과 조홍이 각 1천여 사람을 이끌고 도우러 온다. 조인은 자가 자효요 조홍은 자가 자렴이다. 두 사람은 활쏘기, 말타기 등 무예에 정통하다. 조조가 크게 기뻐하며 지방에서 군마를 조련한다. 위홍이 재산을 모두 털어내어 의복, 갑옷, 깃발을 마련한다. 사방에서 양식을 보내는 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時袁紹得操矯詔,乃聚麾下文武,引兵三萬,離渤海來與曹操會盟。操作檄文以達諸郡。檄文曰:

操等謹以大義布告天下:董卓欺天罔地,滅國弒君﹔穢亂宮禁,殘害生靈﹔狼戾不仁,罪惡沖積!今奉天子密詔,大集義兵,誓欲掃清華夏,剿戮群凶。望興義師,共泄公憤﹔扶 持王室,拯救黎民。檄文到日,可速奉行!

*麾 대장기 휘
*穢 더러울 예
*狼 이리 랑 戾 어그러질 태 / 이리와 같이 야만스러움
*拯 건질 증

당시 원소가 조조의 조서를 받고 휘하 문무 관리를 모아 3만 군사를 이끌고 발해를 떠나 조조를 만나 맹약한다. 조조가 격문을 지어 고을마다 보내니 이렇다.

'조조 등 삼가 대의를 천하에 포고합니다. 동탁이 천지를 속이고 나라를 망치고 임금을 시해했습니다. 궁중 금도를 더럽히고 생령 生靈(백성)을  모질게 해쳤습니다. 이리처럼 어질지 못하고 죄악이 충적沖積합니다! 이제 천자 밀조를 받들어 의병을 크게 모아 화하 華夏(중원)를 청소하고 흉악한 무리를 초륙 剿戮(죽임)할 것을 맹서합니다. 바라건대 의사 義師(의병)를 일으켜 공분 公憤을 함께 풀고 왕실을 바로잡고 여민 黎民을 구제하고자 합니다. 격문이 도착하는대로 속히 받들어 움직이시오!'

操發檄文去后,各鎮諸侯皆起兵相應:第一鎮,后將軍南陽太守袁術。第二鎮,冀州刺史韓馥。第三鎮,豫州刺史孔鈾。第四鎮,兗州刺史劉岱。第五鎮,河內郡太守王匡。第六鎮,陳留太守張邈。第七鎮,東郡太守喬瑁。第八鎮,山陽太守袁遺。第九鎮,濟北相鮑信。第十鎮,北海太守孔融。第十一鎮,廣陵太守張超。第十二鎮,徐州刺史陶謙。第十三鎮,西涼太守馬騰。第十四鎮,北平太守公孫瓚。第十五鎮,上黨太守張楊。第十六鎮,烏程侯長沙太守孫堅。第十七鎮,祁鄉侯渤海太守袁紹。諸路軍馬,多少不等,有三萬者,有一二萬者,各領文官武將,投洛陽來。

*鈾 우라늄 우 -_-;
*邈 멀 막
*瑁 옥홀 모
*祁 성할 기

조조가 격문을 보내니 각진 제후 모두 병사를 일으켜 호응한다. 

제1진 후장군 남양 태수 원술, 
제2진 기주 자사 한복, 
제3진 예주 자사 공유, 
제4진 예주 자사 유대, 
제5진 하태군 태수 왕광, 
제6진 진류 태수 장막, 
제7진 동군 태수 교모, 
제8진 산양 태수 원귀, 
제9진 제북상 포신, 
제10진 북해 태수 공융, 
제11진 광릉 태수 장초, 
제12진 서주 자사 도겸, 
제13진 서량 태수 마등, 
제14진 북평 태수 공손찬,
제15진 상당 태수 장양, 
제16진 오정후 장사 태수 손견, 
제17진 기향후 발해 태수 원소

제로(여러 방면) 군마는 병력이 많고 적은 것이 고르지 않아 3만도 있고 1, 2만도 있는데 각각 문무 관리 거느리고 낙양으로 나아간다.

且說北平太守公孫瓚,統領精兵一萬五千,路經德州平原縣。正行之間,遙見桑樹林中,一面黃旗,數騎來迎。瓚視之,乃劉玄德也。瓚問曰:“賢弟何故在此?” 玄德曰:“舊日蒙兄保備為平原縣令,今聞大軍過此,特來奉候,就請兄長入城歇馬。”瓚指關、張問曰:“此何人也?”玄德曰:“此關羽、張飛,備結義兄弟也。”瓚曰:“乃同破黃巾者乎?”玄德曰:“皆此二人之力。”瓚曰:“今居何職?”玄德答曰:“關羽為馬弓手,張飛為步弓手。”瓚嘆曰:“如此可謂埋沒英雄!今董卓作亂,天下諸侯共往誅之。賢弟可棄此卑官,一同討賊,力扶漢室,若何?”玄德曰:“愿往。”張飛曰:“當時若容我殺了此賊,免有今日之事。”云長曰:“事已至此,即當收拾前去。”

*奉候 존경하는 마음으로 기다림
*歇馬 말을 쉬게 함 / 휴식
*前去 앞으로 나아감

한편 북평 태수 공손찬이 정병 1만 5천을 거느리고 덕주 평원현을 지난다. 멀리 누상촌에 누런 깃발 하나 보이는데 몇 기騎가 달려나와 맞이한다. 공손찬이 바라보니 현덕이다. 공손찬 묻는다.

"아우 어찌 여기 있는가?"

"예전 형님께서 저를 평원 현령으로 천거하신 은혜 입었는데 이제 형님께서 대군을 거느리고 여기 지나신다 듣고 달려나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형장께서 입성하셔 군마를 쉬어 가시기 청합니다."

공손찬이 관공과 장비를 가리킨다.

"누구신가?"

"관우와 장비 저와 의형제입니다."

"같이 황건적을 격파한 사람 아닌가?"

"모두 두 사람 덕이었습니다."

"이제 무슨 벼슬인가?"

"관우는 마궁수 馬弓手요 장비는 보궁수 步弓手입니다."

공손찬 한탄한다.

"그렇다면 숨은 영웅이라 할 만하구나! 이제 동탁이 천하를 어지럽히니 천하 제후 모두 함께 가서 주살하려 하네. 아우도 비루한 벼슬을 버리고 함께 역적을 토벌하여 한실을 바로잡는 것이 어떻겠나?"

현덕 말한다.

"함께 가고 싶습니다."

장비 말한다.

"그때 도적을 죽이게 허락했으면 오늘 같은 일도 없었소."

운장 말한다.

"이미 이렇게 됐으니 수습해야지."

玄德、關、張引數騎跟公孫瓚來,曹操接著。眾諸侯亦陸續皆至,各自安營下寨,連接二百余里。操乃宰牛殺馬,大會諸侯,商議進兵之策。太守王匡曰:“今奉大義,必立盟主﹔眾聽約束,然后進兵。”操曰:“袁本初四世三公,門多故吏,漢朝名將之裔,可為盟主。”紹再三推辭。眾皆曰:“非本初不可。”紹方應允。次日筑台三層,遍列五方旗幟,慨然而上,焚香再拜。其盟曰:

*裔 후손 예
*慨 슬퍼할 개, 분개할 개

현덕과 관, 장이 몇 기만 이끌고 공손찬을 따라 도착하고 조조도 이어서 온다.  제후 역시 꼬리에 꼬리를 물고 모두 도착하여 각각 영채를 세우니 이백여 리에 이어진다. 조조가 소와 말을 도살하고 제후를 크게 모아 진격 계책을 상의한다. 태수 왕광 말한다.

"이제 대의를 받들고 모였으니 맹주를 세워야 할 것이오. 맹주를 세워 모두가 약속約束을 들은 뒤 진군합시다."

조조 말한다.

"원본초(원소)는 사세삼공四世三公 명문 출신입니다. 문중에 옛부터 관리가 많고 한나라 이름난 장수의 후예이니 맹주가 될 만하오."

원소 거듭 사양하지만 모두 입 모은다.

"본초 아니면 불가하오."

원소 결국 응낙하고 이튿날 삼층 대를 쌓아올리고 오방五方(동서남북과 중앙)을 상징하는 기치(각종 깃발)를 두루 세운다. 다들 비분강개한 마음으로 올라가 향 사르고 두 번 절하며 맹세한다.


漢室不幸,皇綱失統。賊臣董卓,乘舋縱害,禍加至尊,虐流百姓。紹等懼社稷淪[망할 륜]喪,糾合義兵,并赴國難。凡我同盟,齊心戮力,以至臣節,必無二志。有渝此盟,俾墜其命,無克遺育。皇天后土,祖宗明靈,實皆鑒之!

*舋 흠 틈.
*俾墜其命 /비추기명/ 목숨을 앗아감
*無克遺育 /무극유육/ 자손을 남기지 못함

"한실 漢室 불행하여 황실 기강 무너지니 적신 賊臣 동탁 이틈을 타서 함부로 해악을 저절러 재앙이 지존 至尊께 이르고 백성을 학대하여 유랑하게 만들었습니다. 저희 원소 등 사직 社稷이 무너질까 두려워 의병을 규합하여 다함께 국난 國難을 대처하려 합니다. 저희 함께 맹서하니 일심으로 죽을 힘 다해 신하의 충절을 바치는 데 다른 뜻 있을 수 없습니다. 맹서 어기는 이 목숨을 잃고 자손이 끊길  것입니다. 황천후토 皇天后土시여 조종명령 祖宗明靈이시여 진실로 굽어 살펴주소서!'

讀畢,歃血。眾因其辭氣慷慨,皆涕泗橫流。歃血已罷,下壇。眾扶紹升帳而坐,兩行依爵位年齒分列坐定。操行酒數巡,言曰:“今日既立盟主,各聽調遣,同扶國家,勿以強弱計較。”袁紹曰:“紹雖不才,既承公等推為盟主,有功必賞,有罪必罰。國有常刑,軍有紀律﹔各宜遵守,勿得違犯。”眾皆曰:“惟命是聽。”紹曰:“吾弟袁術總督糧草,應付諸營,無使有缺。更須一人為先鋒,直抵汜水關挑戰。余各據險要,以為接應。”

*涕泗橫流 /체사횡류/ 눈물이 마구 흘러서 교차함.
*調遣 /조견/ 병력 배치
*計較 /계교/ 비교해 따짐

읽기 마치고 삽혈歃血(짐승의 피를 나눠 마시며 동맹을 다지는 것) 을 행한다. 뭇 사람 비분강개한 맹서문을 듣고 눈물을  주체하지 못한다. 삽혈 마치고 단을 내려온다. 사람들이 원소를 군막으로 모셔 와서 앉는데 벼슬과 나이 따라 두 줄로  자리잡는다.  술이 몇 순 돌자 조조 말한다.

"오늘 맹주를 세우고 각각 작전을 들어 함께 국가를 바로잡으려 하오. 세력의 강약을 따지지 맙시다. "

원소 말한다.

"재주도 없는데 여러분이 맹주로 세우셨소. 공을 세우면 반드시 상 주고 죄 지으면 반드시 벌 주겠소. 국가에 늘 지킬 형벌이 있고 군대에 기율이 있는 법이니 각자 준수하여 위반이 없게 해주시오."

모두 입 모은다.

"목숨 걸고 명 받들겠습니다."

원소 말한다.

"제 동생 원술이 양초(군량과 말먹이풀)를 모두 감독하여 여러 군영의 요구에 응하는 데 모자람 없도록 하겠소. 우선 한 분이 선봉에 서서 사수관으로 가서 도전하셔야겠소. 다른 분은 요충지를 점거하여 도우시오."

長沙太守孫堅出曰:“堅愿為前部。”紹曰:“文台勇烈,可當此任。”堅遂引本部人馬殺奔汜水關來。守關將士,差流星馬往洛陽丞相府告急。董卓自專大權之后,每日飲宴。李儒接得告急文書,徑來稟卓。卓大驚,急聚眾將商議。溫侯呂布挺身出曰:“父親勿慮。關外諸侯,布視之如草芥﹔愿提虎狼之師,盡斬其首,懸于都門。”卓大喜曰:“吾有奉先,高枕無憂矣!”言未絕,呂布背后一人高聲出曰:“‘割雞焉用牛刀?’不勞溫侯親往。吾斬眾諸侯首級,如探囊取物耳!”

장사 태수 손견 나온다.

"선봉에 서겠소."

원소가 말한다.

"문태께서 용렬勇烈(용맹하고 충렬함)하시니 적격이오."

손견이 휘하 군사 거느려 사수관으로 달려간다. 사수관 수비 군관이 유성마流星馬(샛별처럼 빠른 말이란 뜻으로 고대의 통신병을 일컬음)를 보내 급히 낙양 승상부에 알린다. 이때 동탁은 대권을 장악하여 날마다 술자리를 벌였다. 이유가 급보를 접하여 동탁에게 달려가니 동탁 크게 놀라 황급히 장수를 불러 상의한다. 온후 溫侯 여포가 자리 박차고 말한다.

"부친께서 걱정 마십시오. 사수관 밖 제후는 지푸라기와 같습니다. 바라옵건대 호랑이 같은 군사를 이끌고 모조리 목 잘라 도성 문에 내걸겠습니다."

동탁 크게 기뻐한다.

"내게 봉선(여포)이 있으니 아무 걱정 없이 편히 자겠구나!"

말을 미처 끝내기도 전 여포 뒤 한 사내 크게 외친다.

"닭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겠습니까? 온후께서 수고하실 것 없습니다. 제가 제후 머리를 베는 것쯤 주머니 속 물건 꺼내듯이 할 수 있습니다."

卓視之,其人身長九尺,虎體狼腰,豹頭猿臂﹔關西人也,姓華,名雄。卓聞言大喜,加為驍騎校尉,撥馬步軍五萬,同李肅、胡軫、趙岑星夜赴關迎敵。眾諸侯內有濟北相鮑信,尋思孫堅既為前部,怕他奪了頭功,暗撥其弟鮑忠,先將馬步軍三千,徑抄小路,直到關下搦戰。華雄引鐵騎五百,飛下關來,大喝:“賊將休走!” 鮑忠急待退,被華雄手起刀落,斬于馬下,生擒將校極多。華雄遣人齎鮑忠首級來相府報捷,卓加雄為都尉。

*撥 다스릴 발, 일으킬 발
*岑 봉우리 잠

동탁이 바라보니 사나이는 키 아홉 척, 호랑이 몸, 이리 허리, 표범 머리, 원숭이 어깨를 하고 있다. 관서 출신으로 성은 화, 이름 웅이다. 동탁 듣고 크게 기뻐하여 효기교위 벼슬을 더하여 마보군 馬步軍(기병과 보병) 5만을 이끌고 이숙, 호진, 조잠과 함께 사수관으로 달려가서 맞서게 한다.  제후 가운데 제북상 포신은 손견이 선봉 맡자 으뜸 공을 빼앗길까 두려워한다. 몰래 아우 포충에게 먼저 마보군 3천을 이끌고 샛길로 사수관 밑으로 가 도전하게 한다. 화웅이 철기 鐵騎(철갑 기병) 5백 이끌고 번개 같이 사수관 아래 내려와 크게 꾸짖는다.

"역적 장수야! 꼼짝마라!"

포충 급히 달아나려 하지만 화웅 한 번 칼을 휘두르자 두 동강 나서 말 아래 구른다. 포충 수하의 사로잡힌 장교가 매우 많다. 화웅이 사람을 승상부로 보내 포충 머리를 바치며 승첩 알리니 동탁이 화웅에게 도위 都尉 벼슬을 더한다.

卻說孫堅引四將直至關前。那四將:第一個,右北平土垠人,姓程,名普,字德謀,使一條鐵脊蛇矛﹔第二個,姓黃,名蓋,字公覆,零陵人也,使鐵鞭﹔第三個,姓韓,名當,字義公,遼西令支人也,使一口大刀﹔第四個,姓祖,名茂,字大榮,吳郡富春人也,使雙刀。孫堅披爛銀鎧,裹赤幘,橫古錠刀,騎花鬃馬,指關上罵曰:“助惡匹夫,何不早降!”華雄副將胡軫引兵五千出關迎戰。程普飛馬挺矛,直取胡軫。斗不數合,程普刺中胡軫咽喉,死于馬下。堅揮軍直殺至關前,關上矢石如雨。孫堅引兵回至梁東屯住,使人于袁紹處報捷,就于袁術處催糧。

한편 손견은 네 장수와 함께 사수관에 당도한다. 네 장수 가운데 첫째는 우북평 토은 출신으로 성은 정, 이름 보, 자 덕모로서 한 자루 철척사모鐵脊蛇矛를 잘 쓴다. 둘째는 성은 황, 이름 개, 자 공복 公覆, 영릉 출신으로 쇠채찍(철편鐵鞭)을 잘 쓴다. 셋째는 성은 한, 이름 당, 자 공의, 요서 영지 출신으로 한 자루 큰 칼을 잘 쓴다. 넷째는 성은 조, 이름 무, 자 대영, 오군 부춘 출신이고 쌍칼을 잘 쓴다. 손견이 눈부신 은갑옷에 붉은 두건 쓰고 고정도古錠刀 비껴들고 화종마 花鬃馬 올라타고 사수관 위를 가리켜 크게 욕한다.

"악당의 종놈아! 어서 항복 못하냐!"

화웅이 부장 副將 호진 胡軫에게 오천 군사를  줘 관문 밖으로 출격시킨다. 정보가 나는 듯이 말 몰아 호진에게 달려들어 불과 몇 합에 목을 찔러 떨군다.  손견이 군사를 몰아 관문 앞까지 쇄도하자 관 위에서 화살과 돌이 비오듯한다. 손견이 군사를 돌려 양동에 주둔하여 원소에게 승전을 알리고 원술에게 군량을 어서 보내달라고 한다.

或說術曰:“孫堅乃江東猛虎﹔若打破洛陽,殺了董卓,正是除狼而得虎也。今不與糧,彼軍必散。”術聽之,不發糧草。孫堅軍缺糧,軍中自亂,細作報上關來。李肅為華雄謀曰:“今夜我引一軍從小路下關,襲孫堅寨后,將軍擊其前寨,堅可擒矣。”雄從之,傳令軍士飽餐,乘夜下關。是夜月白風清。到堅寨時,已是半夜,鼓噪直進。堅慌忙披挂上馬,正遇華雄。兩馬相交,斗不數合,后面李肅軍到,令軍士放起火來。堅軍亂竄。

*亂竄 /난찬/ 어지러울 란, 숨을 찬/ 사방으로 도망가다

누군가 원술에게 말한다.

"손견은 강동 맹호입니다. 낙양을 함락하여 동탁을 죽이면 결국 이리를 없앤 자리에 호랑이가 들어섭니다. 이제 군량을 보내지 않으면 그 군사가 흩어지고 말 것입니다."

원술이 이를 따라 군량을 보내지 않으니 손견 군중에 식량이 부족하여 저절로 어지러워진다. 세작(간첩)이 이 사정을 사수관에 알리자 이숙이 화웅에게 계략을 말한다.

"오늘밤 제가 샛길로 관문을 내려가 손견 군영을 배후에서 습격할 테니 장군께서 앞쪽을 치면 손견을 잡을 수 있습니다."

화웅이 이를 따라 군사를 배불리 먹이고 야음을 틈타 관문을 나온다. 그날밤 달 밝고 바람이 시원하다. 손견 군영에 이르니 벌써 한밤이다. 북을 울리고 함성을 지르며 돌격한다. 손견이 놀라 갑옷을 입고 말을 타는데 바로 화웅이 나타난다. 두 사람이 싸운 지 불과 몇 합에 뒷쪽에서 이숙이 군사를 이끌고 와서 군사들을 시켜 불을 지른다. 손견 군사가 어지럽게 달아난다.

眾將各自混戰,止有祖茂跟定孫堅,突圍而走。背后華雄追來。堅取箭,連放兩箭,皆被華雄躲過。再放第三箭時,因用力太猛,拽折了鵲畫弓,只得棄弓縱馬而奔。祖茂曰:“主公頭上赤幘射目,為賊所識認。可脫幘與某戴之。”堅就脫幘換茂盔,分兩路而走。雄軍只望赤幘者追趕,堅乃從小路得脫。祖茂被華雄追急,將赤幘挂于人家燒不盡的庭柱上,卻入樹林潛躲。華雄軍于月下遙見赤幘,四面圍定,不敢進前。用箭射之,方知是計,遂向前取了赤幘。祖茂于林后殺出,揮雙刀欲劈華雄﹔雄大喝一聲,將祖茂一刀砍于馬下。殺至天明,雄方引兵上關。

*躲 /송/ 피하다. 비키다.
*劈 /벽/ 쪼개다.

장수들 각자 어지러이 싸우는데 조무 홀로 손견 곁에서 포위를 뚫고 달아난다. 배후에서 화웅이 쫓아온다. 손견이 화살을 거푸 날리나 화웅이 모두 피한다. 다시 쏘려다가 너무 세게 당겨 활이 부러져 활을 버리고 말 몰아 달아날 뿐이다. 조무 말한다.

"주공께서 붉은 두건을 써서 과녁이 되고 적병이 알아봅니다. 두건을 벗어주시면 제가 쓰겠습니다."

손견이 두건 벗어 조무에게 주고 길 나눠 달아난다. 화웅 군사가 붉은 두건을 보고 뒤쫓으니 손견은 샛길로 탈출한다. 화웅이 바짝 따라붙자 조무가 붉은 두건을 근처 인가 불이 꺼지지 않은 기둥에 걸어두고 숲속으로 잠시 피한다. 화웅 군사가 달빛 아래 멀리 붉은 두건이 보이므로 사방을 포위하지만 감히 전진하지 못한다. 화살을 두건에 쏘은 뒤 비로소 속은 것을 알고 앞으로 나아가 붉은 두건을 거두려 한다. 이때 조무가 숲 속에서 뛰어나와 쌍칼을 휘두르며 화웅을 베려고 한다. 하지만 화웅이 크게 호통치며 조무를 한칼에 베어 말 아래 떨군다. 어느새 날이 밝아오자 화웅이 병력을 이끌고 사수관으로 돌아간다.

程普、黃蓋、韓當都來尋見孫堅,再收拾軍馬屯扎。堅為折了祖茂,傷感不已,星夜遣人報知袁紹。紹大驚曰:“不想孫文台敗于華雄之手!”便聚眾諸侯商議。眾人都到,只有公孫瓚后至,紹請入帳列坐。紹曰:“前日鮑將軍之弟不遵調遣,擅自進兵,殺身喪命,折了許多軍士﹔今者孫文台又敗于華雄:挫動銳氣,為之奈何?”諸侯并皆不語。紹舉目遍視,見公孫瓚背后立著三人,容貌異常,都在那里冷笑。紹問曰:“公孫太守背后何人?”瓚呼玄德出曰:“此吾自幼同舍兄弟,平原令玄德是也。”曹操曰:“莫非破黃巾劉玄德乎?”瓚曰:“然。”

*屯扎 /둔찰/ 진칠 둔, 구축할 찰/
*傷感 /상감/ 슬픔
*不已 /불이/ 끝이 없이. 극심하게
*擅 /천/ 멋대로 하다.
*挫動 /좌동/ 전투에서 손실을 입다.


정보, 황개, 한당 모두 손견을 찾아 뵙고 군마를 다시 수습해 주둔한다. 손견이 조무가 죽은 것을 알고 슬픔을 가누지 못한다. 서둘러 원소에게 알리니 원소 크게 놀란다.

"손문태가 화웅에게 질 줄이야!"

제후와 상의한다. 사람들 모두 당도했는데 공손찬 홀로 늦는다. 원소가 장막에 들어와 쭉 앉혀놓고 말한다.

"어제 포 장군 아우가 작전을 따르지 않고 함부로 진격하여 사상자가 많았소. 이제 손문태도 화웅에게 졌소. 아군 예봉이 꺾였는데 어째야겠소?"

제후 모두 입을 열지 못한다. 원소가 눈을 들어 두루 살핀다. 공손찬 뒤 세 사람 서 있는데 용모 비상하고 어딘지 모르게 비웃는 듯하니 원소가 묻는다.

"공손 태수 뒤 누구요?"

공손찬이 현덕을 불러내 말한다.

"저와 어려서부터 같이 지낸 형제 같은 평원현령 현덕이오."

조조가 거든다.

"황건적을 격파한 유현덕 아니시오?"

공손찬이 답한다.

"그렇소."

即令劉玄德拜見。瓚將玄德功勞,并其出身,細說一遍。紹曰:“既是漢室宗室,取坐來。”命坐。備遜謝。紹曰:“吾非敬汝名爵,吾敬汝是帝室之冑耳。”玄德乃坐于末位,關、張叉手侍于后。


공손찬이 현덕을 인사시키고 그 공로와 출신 등을 한바탕 늘어놓자 원소 말한다.

"그렇다면 한실종친이니 여기 앉으시오."

유비가 겸양하니 원소 다시 말한다.

"그대 벼슬을 공경해서가 아니라 한실후예를 공경하는 것뿐이오."

현덕이 말석에 앉고 관, 장이 그 뒤 시립한다.


忽探子來報:“華雄引鐵騎下關,用長竿挑著孫太守赤幘,來寨前大罵搦戰。”紹曰:“誰敢去戰?”袁術背后轉出驍將俞涉曰:“小將愿往。”紹喜,便著俞涉出馬。即時報來:“俞涉與華雄戰不三合,被華雄斬了。”眾大驚。太守韓馥曰:“吾有上將潘鳳,可斬華雄。”紹急令出戰。潘鳳手提大斧上馬。去不多時,飛馬來報:“潘鳳又被華雄斬了。”眾皆失色。紹曰:“可惜吾上將顏良、文丑未至!得一人在此,何懼華雄!”言未畢,階下一人大呼出曰:“小將愿往斬華雄頭,獻于帳下!”眾視之,見其人身長九尺,髯長二尺,丹鳳眼,臥蠶眉,面如重棗,聲如巨鐘,立于帳前。

*驍將 /효장/ 사납고 날랜 장수


갑자기 탐자(정탐꾼)가 보고한다..

"화웅이 철기를 이끌고 사수관을 내려왔습니다. 긴 대나무 막대에 손 태수 붉은 두건을 매달아 진앞에서 크게 욕하며 도전합니다."

원소 말한다.

"누가 용감히 출전하겠소?"

원술 뒤 사납게 생긴 장수 유섭 돌아나오며 말한다.

"소장 가겠습니다."

원소 기뻐하며 유섭을 출마시킨다. 즉시 보고가 들어온다.

"유섭이 화웅과 싸워 불과 삼합에 목이 잘렸습니다."

모두 놀라자 태수 한복 말한다.

"제 상장 上將 심봉이 화웅을 벨 수 있소."

원소가 어서 출전시킨다. 심봉 큰 도끼 들고 말 몰아 나간다. 잠시 뒤 급보가 들어온다.

"심봉도 화웅에게 목 베였습니다."

모두 하얗게 질리니 원소가 말한다.

"내 상장 上將 안량과 문추가 오지 않아 애석하구나! 하나라도 여기 있다면 어찌 화웅이 두려우랴!"

말을 미처 마치기 전 밑에서 한사람 크게 소리치며 나온다.

"소장이 가서 화웅 머리를 베어 바치겠습니다!"

모두 바라보니 키 아홉 척, 수염 두 척, 붉은 봉황 같은 눈, 누에가 누운 듯한 눈썹, 얼굴은 잘 익은 대추, 목소리는 커다란 종소리 같은 사나이가 앞에 서 있다.

紹問何人。公孫瓚曰:“此劉玄德之弟關羽也。”紹問現居何職。瓚曰:“跟隨劉玄德充馬弓手。”帳上袁術大喝曰:“汝欺吾眾諸侯無大將耶?量一弓手,安敢亂言!與我打出!”曹操急止之曰:“公路息怒。此人既出大言,必有勇略﹔試教出馬,如其不勝,責之未遲。”袁紹曰:“使一弓手出戰,必為華雄所笑。”操曰:“此人儀表不俗,華雄安知他是弓手?”關公曰:“如不勝,請斬某頭。”操教釃熱酒一杯,與關公飲了上馬。關公曰:“酒且斟下,某去便來。”出帳提刀,飛身上馬。

*公路 /공로/ 원술
*息怒 /식로/ 화를 삭임. 진정함.
*儀表 /의표/ 생김새
*釃 /시/ 거르다. 나누다. 묽은 술.

원소가 누군지 물어 공손찬 말한다.

"현덕 아우 관우요."

원소가 벼슬을 물어 공손찬 말한다.

"유 현덕의 마궁수요."

위에서 원술 고함지른다.

"네가 우리 제후에게 뛰어난 장수가 없다 업신여기냐? 일개 궁수 따위 어찌 망언하냐! 매질해 쫓아야겠구나!"

조조 서둘러 막는다.

"공로께서 진정하시오. 이 사나이 큰 소리를 치니 틀림없이 용맹하겠소. 한번 싸워 못 이기면 그때 꾸짖어도 늦지 않소."

원소 말한다.

"일개 궁수를 내보내 화웅에게 웃음거리가 되오."

조조 말한다.

"생김새 예사롭지 않은데 화웅이 어찌 궁수인줄 알겠소?"

관공 말한다.

"못 이기면 제 머리를 베시오."

조조가 뜨거운 술 한잔 따라 관공에게 마시고 말 타라 권하니 관공 말한다.

"술을 따라 두시면 다녀와 마시겠습니다."

밖으로 나가 칼 들고 몸 날려 말 탄다.

眾諸侯聽得關外鼓聲大振,喊聲大舉,如天摧地塌,岳撼山崩,眾皆失驚。正欲探聽,鸞鈴響處,馬到中軍,云長提華雄之頭,擲于地上。其酒尚溫。曹操大喜。只見玄德背后轉出張飛,高聲大叫:“俺哥哥斬了華雄,不就這里殺入關去,活拿董卓,更待何時!”袁術大怒,喝曰:“俺大臣尚自謙讓,量一縣令手下小卒,安敢在此耀武揚威!都與趕出帳去!”曹操曰:“得功者賞,何計賤貴乎?”袁術曰:“既然公等只重一縣令,我當告退。”操曰:“豈可因一言而誤大事耶?”命公孫瓚且帶玄德、關、張回寨。眾官皆散。曹操暗使人齎牛酒撫慰三人。

*天摧[꺽을 최, 무너질 최]地塌[떨어질 탑] /천최지탑/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짐
*鸞[방울 란]鈴/란령/ 말방울
*俺 /엄/ 나, 우리
*耀武揚威 /요무양위/ 날뛰다. 큰 소리 치다.

제후가 들으니 사수관 밖 북소리 크고 함성 크게 일어 마치 천지가 꺼지고 산이 무너지듯 하여 모두 크게 놀란다. 대체 무슨 소린가 알아보려는데 말방울 소리 요란히 말 한 필이 중군에 당도한다. 관운장이 화웅 머리를 바닥에 내던진다. 조조가 따른 술이 아직 식지 않았다. 조조 크게 기뻐한다. 현덕 뒤 장비가 돌아나와 크게 외친다.

"제 형께서 화웅을 베었습니다. 어서 사수관으로 돌격해 동탁 안 잡고 무엇을 기다리십니까!"

원술 버럭 성낸다.

"우리 대신도 겸양하는데 현령 졸개 따위 여기가 어디라 날뛰냐! 모두 여기서 썩 나가지 못할까!"

조조 말한다.

"공을 세우면 포상해야지 귀천을 왜 따지오?"

"여러분이 일개 현령을 이다지도 후대하면 나는 물러가겠소!"

"어찌 한마디로 대사를 그르치려 하오?"

공손찬에게 현덕, 관, 장을 데리고 영채로 돌아가게 하고 관리들이 해산한다. 조조가 몰래 고기와 술을 보내 세 사람을 달랜다.

卻說華雄手下敗軍,報上關來。李肅慌忙寫告急文書,申聞董卓。卓急聚李儒、呂布等商議。儒曰:“今失了上將華雄,賊勢浩大。袁紹為盟主,紹叔袁隗,現為太傅 ﹔倘或里應外合,深為不便,可先除之。請丞相親領大軍,分撥剿捕。”卓然其說,喚李傕、郭汜領兵五百,圍住太傅袁隗家,不分老幼,盡皆誅絕,先將袁隗首級去關前號令。卓遂起兵二十萬,分為兩路而來:一路先令李傕、郭汜引兵五萬,把住汜水關,不要廝殺﹔卓自將十五萬,同李儒、呂布、樊稠、張濟等守虎牢關。這關離洛陽五十里。軍馬到關,卓令呂布領三萬軍,去關前扎住大寨。卓自在關上屯住。

*申聞 상부에 글을 보냄
*廝殺 마구 죽이다. 전투에 돌입하다.

한편 화웅 수하 패잔병이 관문으로 올라가 알린다. 이숙이 놀라 위급을 알리는 글을 동탁에게 보낸다. 동탁이 서둘러 이유, 여포 등과 상의하니 이유가 말한다.

"이제 상장 上將 화웅을 잃어 적세가 대단합니다. 원소가 맹주이고 숙부 원외가 현재 태부입니다. 혹시 내응하여 합세하면 매우 곤란하니 먼저 제거하십시오. 그리고 승상께서 몸소 대군을 이끌고 여러 방면에서 초포하셔야 합니다."

동탁이 그렇다 여겨 이각과 각사에게 오백 군사를 줘서 태부 원외 집을 에워싸 남녀노소 안 가리고 살륙한다.  먼저 원외의 머리를 베어 사수관 앞에 내건다. 동탁이 2십만 대군을 이끌고 두 갈래로 진격한다. 한 갈래 이각과 곽사가 5만 군사를 이끌고 사수관에 주둔하고 함부로 싸우지 않게 한다. 또 한 갈래 동탁이 몸소 15만 병력을 이끌고 이유, 여포, 번조, 장제 등과 호뢰관을 수비한다. 군마가 호뢰관에 이르자 동탁이 여포에게 3만 병력을 이끌고 관문 앞에 크게 진 치게 한다. 동탁은 관문 위에 머문다.

流星馬探聽得,報入袁紹大寨里來。紹聚眾商議。操曰:“董卓屯兵虎牢,截俺諸侯中路,今可勒兵一半迎敵。”紹乃分王匡、喬瑁、鮑信、袁遺、孔融、張楊、陶謙、公孫瓚八路諸侯,往虎牢關迎敵。操引軍往來救應。八路諸侯,各自起兵。河內太守王匡,引兵先到。呂布帶鐵騎三千,飛奔來迎。

유성마가 이것을 탐청하여 원소의 대채(큰 영채)로 들어가서 보고한다. 원소가 사람을 불러 상의하니 조조 말한다.

"동탁이 호뢰관에 주둔하여 우리 제후의 중로中路를 차단하니 이제 병력 절반으로 적군을 맞아 싸워야 하오."

이에 원소가 왕광, 교모, 포신, 원유, 공융, 장양, 도겸, 공손찬 등 8로 제후를 호뢰관으로 보내 적군을 맞아 싸우게 한다. 조조는 군을 이끌고 왕래하며 구원하기로 한다. 8로 제후 각각 군사를 움직여 하내태수 왕광의 군사가 먼저 도착하니 여포가 철기 鐵騎 3천을 이끌고 번개같이 맞이한다.

王匡將軍馬列成陣勢,勒馬門旗下看時,見呂布出陣:頭戴三叉束發紫金冠,體挂西川紅錦百花袍,身披獸面吞頭連環鎧,腰系勒甲玲瓏獅蠻帶﹔弓箭隨身,手執畫戟,坐下嘶風赤兔馬:果然是“人中呂布,馬中赤兔”!王匡回頭問曰:“誰敢出戰?”后面一將,縱馬挺槍而出。匡視之,乃河內名將方悅。

*勒甲 /늑갑/ 짐승의 껍질 따위에 조각하는 것. 
*獅蠻 /사만/ 고대의 무관들이 허리에 두르던 허리띠를 장식하던 사자나 오랑캐 왕 같은 장식. 

왕광이 군마를 거느려 진세를 펼친 뒤 말고삐 잡고 문기門旗(군문 앞 큰 깃발) 아래  바라보니 여포가 군진을 나온다. 세 갈래로 묶은 머리에 자금관紫金冠(왕자나 젊은 장수가 머리에 쓰던 관) 쓰고, 서천에서 나는 붉은 비단에 온갖 꽃 수놓은 전포 입고,  머리를 집어삼키는 짐승 얼굴을 새기고 고리를 엮어 만든 갑옷을 두르고, 껍질에 영롱하게 사만獅蠻(사자나 오랑캐 왕의 장식)을 아로새긴 허리띠 차고, 손에 방천화극 쥐었는데, 타고 있는 적토마 울음이 바람을 가른다. 과연 사람 가운데 여포요 말들 가운데 적토마다. 왕광이 고개 돌려 묻는다.

"누가 용감히 출전하겠소?"

뒤에서 한 장수가 말 내달리며 창 꼬나쥐고 달려든다. 왕광이 바라보니 하내 명장 방열 方悅이다.

兩馬相交,無五合,被呂布一戟刺于馬下,挺戟直沖過來。匡軍大敗,四散奔走。布東西沖殺,如入無人之境。幸得喬瑁、袁遺兩軍皆至,來救王匡,呂布方退。三路諸侯,各折了些人馬,退三十里下寨。隨后五路軍馬都至,一處商議,言呂布英雄,無人可敵。

그러나 두 말이 맞붙어 불과 다섯 합 여포가 찔러 떨군다. 여포가 창을 겨눠 곧장 들이친다. 왕광 부대가 대패하여 사방으로 달아나는 것을 여포가 이리저리 무찌르는데 마치 무인지경에 뛰어든 듯하다. 요행히 교모의 군사와 원유의 군사가 같이 와서 왕광을 구원하니 여포가 비로소 물러간다. 3로 제후가 인마 人馬를 제법 잃고 3십 리 물러나 주둔한다. 이어서 5로 제후의 군마가 모두 도착하여 상의한다. 모두 여포가 영웅이라 아무도 맞설 수 없다 한다.

正慮間,小校來報:“呂布搦戰。”八路諸侯,一齊上馬。軍分八隊,布在高崗。遙望呂布一簇軍馬,繡旗招展,先來沖陣。上黨太守張楊部將穆順,出馬挺槍迎戰,被呂布手起一戟,刺于馬下。眾大驚。北海太手孔融部將武安國,使鐵錘飛馬而出。呂布揮戟拍馬來迎。戰到十余合,一戟砍斷安國手腕,棄錘于地而走。八路軍馬齊出,救了武國安。呂布退回去了。眾諸侯回寨商議。

이렇게 걱정하고 있는데 소교(하급 장교)가 알린다.

"여포가 도전합니다."

8로 제후 일제히 말 타고 나간다. 군을 팔개 부대로 나눠 높은 언덕에 포진한다. 멀리 바라보니 여포가 한떼 군마를 이끌고 비단 깃발 나부끼며 선두 돌격한다. 상당 태수 장양의 부장 목순 穆順이 창을 겨눠 맞서나 여포가 한번에 찔러 말 아래 떨어뜨린다. 모두 크게 놀란다. 북해 태수 공융의 부수 무안국 武安國이 철추鐵錘(철퇴) 휘두르며 나는 듯이 말 달려 나간다. 여포가 방천화극 휘두르며 말 달려 맞이한다. 십여 합에 방천화극으로 무안국 팔뚝을 찌르자 철추를 버리고 달아난다. 8로 군마가 일제히 구원하니 여포가 퇴각한다. 제후가 영채로 돌아가 상의한다.

曹操曰:“呂布英勇無敵,可會十八路諸侯,共議良策。若擒了呂布,董卓易誅耳。”正議間,呂布復引兵搦戰。八路諸侯齊出。公孫瓚揮槊親戰呂布。戰不數合,瓚敗走。呂布縱赤兔馬趕來。那馬日行千里,飛走如風。看看趕上,布舉畫戟望瓚后心便刺。傍邊一將,圓睜環眼,倒豎虎須,挺丈八蛇矛,飛馬大叫:“三姓家奴休走!燕人張飛在此!”呂布見了,棄了公孫瓚,便戰張飛。飛抖擻精神,酣戰呂布。

조조 말한다.

"여포 영용 英勇하니 무적이오. 18로 제후 모두 모여 좋은 계책을 내야겠소. 여포만 잡으면 동탁은 쉽게 주살할 수 있소."

이렇게 의논하는데 여포가 다시 도전하니 8로 제후 일제히 나간다. 공손찬이 삭槊(창의 일종)을 들고 여포와 싸워서 몇 합에 달아나니 여포가 적토마 몰고 뒤쫓는다. 적토마는 하루 천리 바람처럼 달리는 말이다. 금세 여포가 따라잡아 방천화극으로 공손찬의 등을 찌를 참인데 옆에서 부릅뜬 고리 눈, 치켜선 호랑이 수염의 한 장수가 장팔사모 꼬나쥐고 나는 듯이 말 몰며 크게 외친다.

"성을 세번 바꾼 종놈아 게 서라! 연인 燕人 장비 여깄다!"

여포가 공손찬 놔두고 장비와 싸우는데 보는 사람 넋이 나갈 지경이다.

連斗五十余合,不分勝負。云長見了,把馬一拍,舞八十二斤青龍偃月刀,來夾攻呂布。三匹馬丁字兒廝殺。戰到三十合,戰不倒呂布。劉玄德掣雙股劍,驟黃鬃馬,刺斜里也來助戰。這三個圍住呂布,轉燈兒般廝殺。八路人馬,都看得呆了。呂布架隔遮攔不定,看著玄德面上,虛刺一戟,玄德急閃。呂布蕩開陣角,倒拖畫戟,飛馬便回。三個那里肯舍,拍馬趕來。八路軍馬,喊聲大震,一齊掩殺。呂布軍馬望關上奔走﹔玄德、關、張隨后趕來。古人曾有篇言語,單道著玄德、關、張三戰呂布:

*刺斜里 /자사리/ 측면으로, 측면에서
*架隔遮攔 /가격차란/ 치고 막으며 싸우는 모습
*那里 /나리/ 여기서는 '어찌, 어떻게'의 뜻.

잇달아 5십 합 남짓 붙어도 승부를 가르지 못하자 운장이 말 몰고 8십근 청룡언월도 휘두르며 달려와 여포를 공격한다. 말 세 마리가 정 丁자 꼴로  마구 싸운다. 3십 합 남짓 싸워도 여포가 밀리지 않자 유현덕 쌍고검 뽑아들고 황종마 黃鬃馬(누런갈기말) 몰고 달려와 돕는다. 세 사람 여포를 에워싸고 마치 돌아가는 등불처럼 마구 공격하니 8로 인마 모두 넋놓고 바라본다. 치고 막기가 쉽지 않자 여포가 현덕 얼굴을 한번 찌르는 척하니 유비가 움찔한다. 여포가 이틈을 타 포위를 뚫고 나와 방천화극 거꾸로 끌고 나는 듯이 말 몰아 달아난다. 세 사람 어찌 포기하겠는가? 말 몰아 뒤쫓는다. 8로 군마 함성 크게 울리며 일제히 적병을 무찌른다. 여포 군사가 호뢰관으로 달아나는 것을 현덕, 관, 장이 뒤따라 쫓아간다. 옛 사람이 일찍이 시 한편을 남겨 현덕, 관, 장이 여포와 싸운 것을 기렸다.

           漢朝天數當桓帝,炎炎紅日將西傾。奸臣董卓廢少帝,劉協懦弱魂夢驚。
           曹操傳檄告天下,諸侯奮怒皆興兵。議立袁紹作盟主,誓扶王室定太平。
    溫侯呂布世無比,雄才四海夸英偉。護軀銀鎧砌龍鱗,束發金冠簪雉尾。
    參差寶帶獸平吞,錯落錦袍飛鳳起。龍駒跳踏起天風,畫戟熒煌射秋水。
    出關搦戰誰敢擋?諸侯膽裂心惶惶。踴出燕人張翼德,手持蛇矛丈八槍。
    虎須倒豎翻金線,環眼圓睜起電光。酣戰未能分勝敗,陣前惱起關云長。
    青龍寶刀燦霜雪,鸚鵡戰袍飛峽蝶。馬蹄到處鬼神嚎,目前一怒應流血。
    梟雄玄德掣雙鋒,抖擻天威施勇烈。三人圍繞戰多時,遮攔架隔無休歇。
    喊聲震動天地翻,殺氣迷漫牛斗寒。呂布力窮尋走路,遙望家山拍馬還。
    倒拖畫杆方天戟,亂散銷金五彩幡。頓斷絨條走赤兔,翻身飛上虎牢關。

*雄才 /웅재/ 남다른 재능. 출중한 재능.
*英偉 /영위/ 뛰어나고 강함.
*酣戰 /감전/ 격전. 격렬하게 싸움. 
*參差 /참치/ 들쭉날쭉 가지런하지 못함. 
*圍繞 /위요/ 둘러싸다.
*迷漫 /미만/ 연기, 먼지 따위가 천지에 가득한 것.
*家山 /가산/ 고향 산천. 고향. 

한나라 천운이 환제가 즉위하고 기울어 마치 붉은 해 서쪽으로 지는 것 같네 
간신 동탁이 소제를 폐하고 유협을 옹립하지만 나약하여 자다가도 놀라네 
조조가 격문을 돌려 천하에 고하니 제후가 분노하여 모두 군사 일으키네
모두 의논하여 원소 맹주가 되고 왕실 바로세워 태평성대 이루자 맹세하네
온후 여포 세상에서 비할 자 없는 영웅의 재목, 사해에 영위英偉를 뽐내네 
용 비늘 은빛 갑옷 걸치고 머리 묶어 금관을 쓰고 꿩꼬리 깃털을 꽂았네
사나운 짐승 새겨진 보대 두르고 비단 전포 입으니 마치 날아가는 봉황 같구나
적토마 뛰어오르자 하늘에 바람이 일고 번쩍이는 방천화극 시퍼렇게 날 섰네
관문 나와서 싸움 거니 누가 맞설까? 제후 간담 찢어지고 가슴 벌벌 떨구나
이때 뛰어나간 연나라 사람 장익덕 손에는 장팔사모 긴 창을 쥐었네
치켜선 호랑이 수염 쇠줄처럼 일어서고 고리눈 부릅뜨니 번개 이는 듯하구나
아무리 싸워도 승부 못 내니 군진 앞 있던 관운장 참지 못하고 달려나오네
서릿발처럼 빛나는 청룡보도 青龍寶刀 휘두르며 앵무 전포 입고 나비처럼 날아오네
말발굽 닿는 곳마다 귀신 울부짖는 것 같고 목전에서 한번 노하니 피가 흐르구나 
용맹한 영웅 현덕도 쌍칼 뽑아들고 하늘 같은 위엄 떨치며 맹렬히 싸우네.
세 사람 여포 에워싸고 싸우며 찌르고 떨어지고 가리고 막고 쉴 새 없구나 
함성 진동하니 천지 뒤집히고 살기가 천지 가득차니 북두성도 얼어붙네
여포 힘 떨어지자 도망갈 길 찾아 멀리 자기 집으로 말 몰아 달아나네.
방천화극 거꾸로 잡고 달아나니 금박 입힌 오색 깃발 어지러이 흔들리네
갑자기 비단줄 끊어지듯 달리는 적토마 몸 뒤집어 호뢰관으로 날아오르네

三人直趕呂布到關下,看見關上西風飄動青羅傘蓋。張飛大叫:“此必董卓!追呂布有甚強處; 不如先拿董賊,便是斬草除根!”拍馬上關,來擒董卓。

세 사람이 여포 쫓아 호뢰관 아래 이르니 관문 위 서풍에 나부끼는 청라 비단 일산 日傘(햇빛가리개)이 보인다. 장비가 크게 외친다.

"분명히 동탁이다! 여포를 쫓다가 여기까지 왔으니 먼저 동탁 놈부터 잡아야겠다. 이야말로 풀을 베면서 뿌리까지 뽑는 것이다!"

말 몰아 호뢰관으로 들어가 동탁을 잡으려 한다.

正是:擒賊定須擒賊首,奇功端的待奇人。

도적을 잡으려면 우두머리를 잡아야 하고 
비상한 공은 비상한 사람만이 세울 수 있네

未知勝負如何,且聽下文分解。

아직 승부를 알 수 없구나. 다음 편을 보면 풀리리다.

原文三國志

원저: 나관중
번역: 뽀도르 (daramzui@gmail.com, http://podor.egloos.com/)




덧글

  • 시무언 2009/05/23 00:53 # 삭제 답글

    손견은 원래 정사에서는 화웅이랑 여포까지 이겼다지만 연의부터 그 공을 다 뺐기더군요(창천항로에선 하후돈이 화웅을 베고, 여포는 관우 혼자 싸우니-_-)

    조조는 뭐랄까, 원소나 원술과 달리 유비 삼형제도 인정해주는 개념을 보이는 한편 여백사 사건때와 같이 잔인함도 보이니 캐릭터가 여러모로 복잡하니 연의에서 가장 독특한 캐릭터라 할수있겠군요. 생각해보면 최근의 조조팬들은 대부분 연의에서부터 조조를 좋아한걸로 압니다.
  • 뽀도르 2009/05/23 10:22 #

    후한서를 봐도 손견이 동탁을 아주 몰아부치던데, 소설에서는 공을 많이 빼앗기네요.
    조조는 능력을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많이 좋아하고 , 도덕성을 크게 보는 사람들은 아주 싫어하고 , 여러모로 논란이 많은 캐릭터군요,
  • 시무언 2009/05/23 00:58 # 삭제 답글

    아, 그리고 공로는 원술의 자가 아닌가요?
  • 뽀도르 2009/05/23 10:15 #

    헉 감사합니다. 원소 원술 둘이 한꺼번에 이야기 하니 헷갈렸네요. 원소는 본초지요ㅠ.ㅠ
  • 시무언 2009/05/23 14:51 # 삭제 답글

    위나라가 망한 이유중 하나라 조조가 능력만 보고 뽑다보니 정작 위나라에 충성하는 인물들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 뽀도르 2009/05/23 17:30 #

    그런 말도 있지요. 그리고 조조도 아직 한나라의 신하 입장이라서 너무 충성심이 강한 사람은 도리어 해가 될까봐 능력 위주로 뽑았는데 결국 사마의한테 그 후손이 당한 셈이지요. 순욱 같은 사람은 한나라 신하의 입장에서 나중에는 조조의 권력이 너무 커지는 것을 못 마땅해 했지요.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