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4년

75mm L/48포를 장착한 4호 구축전차가 1944년 봄 이탈리아 전선에 투입됩니다.

기존 T-34를 개량, 능률적인 3인승 포탑에 우수한 85mm포를 탑재, 전후에도 장기간 활약합니다.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의 주력 전차이기도 합니다.

독 5호 판터 G형 75mm포 46톤
사실상 판터의 최종형. 판터 가운데 가장 많이 생산돼 동서 양 전선에서 맹활약했다.
사실상 판터의 최종형. 판터 가운데 가장 많이 생산돼 동서 양 전선에서 맹활약했다.

독 야크트판터 구축전차. 88mm포. 46톤
판터 전차의 차체에 88mm포를 얹은 2차대전 최우수 구축전차
독 6호 돌격전차 스투름티거. 380mm 로켓포. 65톤
티거 중전차의 차체에 대구경의 로켓포를 탑재, 적의 강화진지 타격 용으로 개발됐으나 당시 전황에서 주로 방어전에 쓰이게 되었습니다. 아르덴느 공세 당시 7량이 동원됐습니다. 공중 공격이나 중포의 포격 이외에 격파가 불가능하여 방어전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독 6호 전차 B형 타이거 2. 88mm포. 70톤
포르셰 포탑(위), 양산형 헨셸 포탑(아래)
2차대전 최강의 전차였으나 수가 너무 적었습니다.
독 6호 구축전차 야크트티거. 128mm포. 71톤
건물 뒤에 숨은 미군 전차도 잡을 만큼 128mm포는 위력적이었습니다.
소 IS-2 중전차. 122mm포. 46톤
돌파용 전차로서 강력한 고폭탄(유탄)을 발사, 적의 강화진지를 타격하고, 독일의 중전차에 대해서도 유효했습니다.
소 ISU-152 152mm 캐논/곡사포. 46톤
스탈린 전차의 차체를 이용, SU-152를 대체했습니다.
독 38t 75mm포 구축전차 헤처.
사방이 경사진 장갑에 우수한 대전차포를 장비, 전후에 스위스 육군에서도 운용했습니다.
ISU-122 구축전차. 122mm포. 46톤
독 모벨바겐 20mm 자주대공포 시험 제작 차량. 22톤
연합군에게 제공권을 빼앗긴 상황에서 대공전차 개발에 매달립니다.
독 4호 모벨바겐 37mm 자주대공포. 22톤
특히 서부전선의 기갑사단의 방공무기로 큰 활약을 했습니다.
독 E25 105mm 대전차포. 27톤
독 4호 빌베르빈트 20mm 자주대공포. 22톤
독 오스트빈트 37mm 자주대공포. 22톤
빌베르빈트에 비해 사거리가 늘어나고, 보조 무장으로 기관총도 장비했다.
독 VK3001H 구축전차 시제 차량. 128mm포
콜러스3세의 보충 설명:
독 마우스 중전차 시험 제작 차량. 150mm포 + 75mm포. 188톤.
실전 배치의 꿈을 못 이루고 종전을 맞습니다.
독 칼 540mm 자주구포. 120톤
독 E100 중전차. 150mm포 + 75mm포. 140톤
인원 자재 부족으로 개발은 지지부진, 차체 만들다 전쟁이 끝났습니다.

독일 150mm 자주로켓포. 2톤
독 쿠겔블리츠 30mm 대공자주포 시험 제작 차량.
포탑에 지붕도 덮힌 완전 장갑 방호 대공 전차를 추구했습니다.
독 라우펜슐레퍼 75mm 대전차포. 5톤
급하다보니 트랙터에다 대전차포를 얹었습니다.
독 4호 a형 100mm 대전차포.
독 그릴레 Grille 10 88mm Flak 37 자주대공포
독 5호 88mm 자주대공포 시험 제작 차량. 45톤
독 170mm포(17형)/210mm박격포(21형) 탑재 자주포 개발용 차량( 티거 2 차체 기반)
종전으로 시제 차량 단계에서 끝났습니다.
독 38t 20mm 자주대공포 10톤
독 SWS 150mm 로켓포
독 SWS 37mm 대공포
독 7호 전차 뢰베 초중전차( super heavy tank )
시제 차량도 못 만들었습니다.
1945년
소 IS-3 스탈린 전차. 122mm포 46톤
교묘하게 경사진 장갑과 거북이 등껍질 같은 포탑 등으로 전후의 전차 설계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소 T-44 중형전차. 85mm포. 32톤
소련은 T-44를 독일과의 전쟁에 투입하지 않고 아껴둡니다. T-54/55 전차 시리즈의 토대가 됩니다.
소 SU-100 구축전차. 32톤
탑재된 100mm포는 2차 대전에 쓰인 가장 우수한 전차포의 하나로, T-54/55에도 채택됩니다.
판터 전차의 차체에 88mm포를 얹은 2차대전 최우수 구축전차

티거 중전차의 차체에 대구경의 로켓포를 탑재, 적의 강화진지 타격 용으로 개발됐으나 당시 전황에서 주로 방어전에 쓰이게 되었습니다. 아르덴느 공세 당시 7량이 동원됐습니다. 공중 공격이나 중포의 포격 이외에 격파가 불가능하여 방어전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포르셰 포탑(위), 양산형 헨셸 포탑(아래)
2차대전 최강의 전차였으나 수가 너무 적었습니다.

건물 뒤에 숨은 미군 전차도 잡을 만큼 128mm포는 위력적이었습니다.

돌파용 전차로서 강력한 고폭탄(유탄)을 발사, 적의 강화진지를 타격하고, 독일의 중전차에 대해서도 유효했습니다.

스탈린 전차의 차체를 이용, SU-152를 대체했습니다.

사방이 경사진 장갑에 우수한 대전차포를 장비, 전후에 스위스 육군에서도 운용했습니다.


연합군에게 제공권을 빼앗긴 상황에서 대공전차 개발에 매달립니다.

특히 서부전선의 기갑사단의 방공무기로 큰 활약을 했습니다.



빌베르빈트에 비해 사거리가 늘어나고, 보조 무장으로 기관총도 장비했다.

콜러스3세의 보충 설명:

실전 배치의 꿈을 못 이루고 종전을 맞습니다.


인원 자재 부족으로 개발은 지지부진, 차체 만들다 전쟁이 끝났습니다.

독일 150mm 자주로켓포. 2톤

포탑에 지붕도 덮힌 완전 장갑 방호 대공 전차를 추구했습니다.

급하다보니 트랙터에다 대전차포를 얹었습니다.




종전으로 시제 차량 단계에서 끝났습니다.




시제 차량도 못 만들었습니다.
1945년

교묘하게 경사진 장갑과 거북이 등껍질 같은 포탑 등으로 전후의 전차 설계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소련은 T-44를 독일과의 전쟁에 투입하지 않고 아껴둡니다. T-54/55 전차 시리즈의 토대가 됩니다.

탑재된 100mm포는 2차 대전에 쓰인 가장 우수한 전차포의 하나로, T-54/55에도 채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