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의 역사] 왕 호랑이 [전차] 괴수 대 괴물

티거 2 Tiger II


Panzer VI Ausf. B Tiger II
티거 2
유형중전차
개발국나치 독일
운용
운용기간1944–1945
전쟁2차대전
생산
설계 회사
헨셸 / 크룹(포탑)
설계 년도
1943
제조 회사헌셸
생산 기간
1943–1945
생산 수량
487
제원
중량68.5 미터톤 (초기형 포탑 탑재)
69.8 미터 톤 (양산형 포탑 탑재)
길이7.61 m
10.286 m ( 포신 포함 )
너비3.755 m
높이3.09 m
승무원5 (전차장, 사수, 장전수, 무전병, 운전병)

장갑25–180 mm
주 무장
8.8 cm KwK 43 L/71
84발
부 무장
7.92 mm Maschinengewehr 34 기관총
4,800 발
엔진V-12 Maybach HL 230 P30
700 PS (690 hp, 515 kW)
동력/중량
10 PS/tonne (8.97 hp/ton)
변속기Maybach OLVAR EG 40 12 16 B (8단 전진 / 4단 후진)
현가 장치
토션 바
작전 거리170 km
속도41.5 km/h


티거 2는 2차대전에서 싸운 독일 중重전차다. 독일 공식 명칭은 6호 전차 B형 Panzerkampfwagen VI Ausf. B이며 군수품 목록 명칭은 SdKfz 182다. 비공식 명칭인 쾨니히스티거 Königstiger (독일어로 벵갈 호랑이)도 알려졌으며, 미국은 킹 타이거, 영국은 로열 타이거로 옮기곤 한다.

설 계는 티거 1과 같은 생각을 따랐지만, 훨씬 무서운 전차를 꿈꾸었다. 티거 1의 두꺼운 장갑과 판터의 경사 장갑을 묶었다. 무게는 68.5톤에서 69.8톤으로, 150에서 180mm의 앞 장갑에, 71구경 88mm KwK 43포를 갖췄다. 매우 두꺼운 장갑과 강력한 장거리 포는 모든 연합군과 소련군 전차를 때려잡을 수 있었다.


특히 서부전선에서 영미 군이 마땅한 중전차가 없어 더욱 그랬다. 셔먼은 코 앞에서도 앞을 뚫지 못했다. M26퍼싱은 텅스턴 HVAP탄으로 1300미터, IS-2는 강철탄으로 200미터는 붙어야 했다. 섀시는 야크트티거 무포탑 구축전차에도 쓰였다.


엄청난 크기와 힘 덕분에, 티거 2는 선전용 사진을 많이 찍었다.

개발

처음에 헨셸과 포르셰가 각각 설계를 냈다. 둘 다 크룹 사의 포탑 디자인을 사용했다. 크게 다른 건, 몸통, 변속기, 현가장치다


티거 2 개발 전의 중전차 개발안. 티거 1의 차체에 경사 장갑을 채택하고, 포탑을 라운드 처리한 듯하다.


헨셸 안은 일반 차체 설계에 판터와 닮은 경사 장갑을 묶었다. 엔진은 뒤에 달고, 겹치는 아홉개의 로드 휠을 양옆에 굴리고, 가로 橫 토션 바를 원조 티거처럼 깔았다. 그러나 다루기 쉽게 바퀴는 삽입하기보다 겹치는 식이었다. ( 역주: 원조 티거 초기형의 촘촘하게 삽입식으로 겹친 바퀴는 눈이나 진흙이 끼면 가동 불능이 오기 쉬워서 그 보다는 덜 조밀하게 배치했다는 뜻인 듯)


포르셰의 몸통 디자인은 포탑을 뒤에 달고, 엔진을 가운데 집어넣었다. 현가장치는 야크트판처 엘레판트와 같았다. 현가장치는 옆구리마다 여섯개의 로드 휠을 달고 한 쌍의 바퀴를 짧은 세로 토션 바와 묶었다. 덕분에 안이 널널해지고 고치기가 쉬웠다. 동력장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가솔린 엔진이 발전기를 돌리고, 그 전력으로 다시 전기 모터를 돌리고, 그 힘으로 스프로킷 휠(전차 궤도를 감아 돌리는 톱니 바퀴)을 돌렸다. 이런 짓은 예전에 경쟁에서 탈락한 포르셰 티거( Tiger (P))에서 해본 것이고, 생산이 불발된 일부 미국 설계도 그렇다. 포르셰 현가 장치는 소수의 후기형 야크트티거 구축전차에 쓰일 것이었다.


부다페스트의 티거2. 지머릿 코팅을 한 양산형 포탑의 근접 사진이다.



원조 티거에 이어 또 헨셸이 이겨, 티거 2 생산을 몽땅 가져갔다. 두 가지 포탑 디자인이 생산에 쓰였다. 초기 디자인은 포르셰 사가 설계한 줄 알고, 때때로 포르셰 포탑으로 잘못 알려졌다. 사실, 이 포탑은  크룹  사의 초기 디자인일 뿐이다. 앞이 둥글어 옆은 크게 기울어졌다. 포탑의 왼쪽은 만들기 어려운 돌출부에 전차장 큐폴라를 올렸다. 50개의 초기 포탑이 헨셸 몸통에 붙어 싸움터에 나갔다. 더 흔한 '양산형' 포탑은 가끔 헌셸 포탑으로 불리는데, 앞이 단순한 평면이다. '짧은 함정 short trap'( 초기 포탑의 둥근 아래 부분에 피탄 시 치명적임 )도 없고 옆면도 덜 경사지고, 전차장 큐폴라를 위한 돌출부도 없다.


초기형 포탑(위)과 양산형 포탑(아래)의 티거 2


티거 2 몸통에 달린 궤도는 별난 것으로 '신발'과 '커넥터' 고리로 이루어졌다. 신발 고리는 한쌍의 가로 금속 막대로서 이것이 땅을 밟는 동안, 커넥터 고리는 땅에 닿지 않았다. 티거 2는 전쟁 느즈막에 만들어지고, 비교적 수도 적었다. 다른 독일 전차처럼 가솔린 엔진이다. 그러나 훨씬 가벼운 판터와 티거를 돌리던 것과 똑 같은 엔진이다. 엔진 힘이 딸리고, 2차대전의 다른 중전차들처럼 기름 먹는 하마였는데, 당시 독일은 기름이 모자랐다.


티거는 다른 양산 파생형인 야크트티거의 토대가 되었다.그릴레 17/21/30/42 중자주포도 계획됐지만 생산되지 못했다.


야크트티거 중구축전차. 너무 둔중한데다 포격 후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로 쉽게 발각됐다.


양산에 이르지 못한 중자주포 G.W tiger


기계적 문제

생산 후 테스트와 예비 시험을 포기한 결과, 이런저런 기술적 문제에 시달린다. 특히, 조향 제어가 무게를 못 이겨 부서지기 일쑤였다. 게다가 엔진이 열받아 터지기 쉬울 뿐 아니라 기름을 너무 먹어댔다. 훨씬 작은 판터를 돌리던 엔진으로 큰 덩치를 돌리자니 늘 최고 출력을 내야 했다. 헨셸 사의 수석 설계자 에르빈 아데르스는 "티거 2의 고장은 충분한 테스트 없이 양산에 들어간 탓일 수 있다"라고 했다. 당시 중전차들은 흔히 엔진과 구동축이 힘에 부쳐 충분한 테스트를 해야 했다. 중전차는 엔진과 구동축을 극한까지 몰아부쳤다. 마이바흐HL230엔진에 연료 분사 기구를 더해 1,000 PS (986 hp, 736 kW)으로 출력을 높여 탑재하고, 기존 차량을 개수하는 것을 헨셸 사가 제안했지만, 전황의 악화로 설계도에 머물렀다.다른 개선안은 새 주포, 아마 105mm포를 장비하는 것이었나 역시 제안 단계에 그쳤다.

이런저런 문제에도 티거 2는 무서운 전차였다. 적 전차가 그들 주포의 유효 사거리 내로 붙기 전 훨씬 먼거리에서  88미리포로 모든 적 전차를 때려부술 수 있었다. 또한 신뢰성를 빼면, 그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날쌘 편이었다. 당시 독일 기록은, 티거 2가 접지압이 낮아 4호 전차만큼 날랬다고 한다. 원조 티거 1도 정교한 현가장치 디자인 덕에 접지압이 매우 낮아 무척 부드럽운 주행이 가능, 훌륭한 사격 플랫폼이 되었다.


넓은 궤도 덕에 의외로 기동성이 좋았다.


1945년 3월 당시 티거 중전차의 가동율을 다른 전차와 비교하면: 4호 전차 62%, 티거 중전차 59%, 판터 48%였다.


생산

1,500량을 주문했으나 연합군 폭격으로 생산은 절반도 안 된 487량이다. (1943 - 3, 1944 - 377, 1945 - 107 량 생산). 완전 생산은 1944년 초부터 종전 시까지였다.

기타 제원

  • 변속기: Maybach OLVAR EG 40 12 16 B (8단 전진, 4단 후진)
  • 무전기: FuG 5, Befehlswagen (지휘 전차) 형: FuG 8 (Sd. Kfz. 267), FuG 7 (Sd. Kfz. 268)
  • 탄약: 88 mm — 80 발 (포르셰 포탑), 86 발 (헨셸 포탑 ), 7.92mm — 최대 5,850 발
  • 포조준기: Turmzielfernrohr 9d (TZF 9d), 초기형 the TZF 9b
  • 장갑 배치: (각도는 수평 기준 )
    • 몸통 앞, 아래: 100 mm @ 40°; 위: 150 mm @ 40°
    • 몸통 옆, 아래: 80 mm @ 90°; 위: 80 mm @ 65°
    • 몸통 뒤: 80 mm @ 60°
    • 몸통 지붕: 40 mm @ 90°
    • 몸통 바닥: 40 mm @ 90° (앞), 25 mm @ 90° (뒤)
    • 포탑 앞: 180 mm @ 80° (포르셰 포탑: 60–110 mm, 곡면)
    • 포탑 옆: 80 mm @ 69° (포르셰 포탑: 80 mm @ 60°)
    • 포탑 뒤: 80 mm @ 70° (포르셰 포탑: 80 mm @ 60°)
    • 포탑 지붕: 44 mm @ 0–10° (포르셰 포탑: 40 mm @ 0–12°)

전투 기록


노르망디에 출현한 503 중전차대대 소속 티거2( 포르셰 포탑 )

티거 2의 첫 교전은 1944년 7월 18일 노르망디의 503 중전차대대가 치뤘다. 동부전선 데뷔는 1944년 8월 12일 501 중전차대대가 비수아 강 건너 소련의 바라노프 교두보 전투다. 기동이 쉽지 않은 모래투성이 지형에서 소련 T-34/85와 IS-2와 교전,  11량의 티거2를 8월 11일에서 13일 사이에 잃었다.

그뒤 티거2는 아르덴느 공세, 1945년 1월 소련의 폴란드/동프로이센 진격, 1945년 독일의 헝가리 공세, 1945년 베를린 동부 젤로프 고지 전투, 최후의 베를린 시가전 등 여러 전투에 모습을 드러냈다.


티거 2의 소련 전시 테스트

(논란의 여지가 있는 내용)


1944년 8월 중 상당수의 티거 2를 산도미에슈 부근에서 소련군이 노획, 쿠빙카 시험장에서 테스했다. 테스트 결과, 결점투성이었다. 변속기와 서스펜션은 걸핏하면 고장, 엔진은 열받아 터지기 일쑤였다. 게다가 장갑판도 아주 놀라운 문제가 있었다. (독일이 고품질 강철에 필요한 합금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셔 다른 독일 전차에서도 나타난 문제지만) 장갑판의 품질이 엉망일 뿐 아니라 용접은, 주의깊게 작업한 거 같았지만, 더욱 엉망이었다. 그 결과, 장갑이 관통되지 않아도, 엄청난 파편이 나왔다. 무거운 포탄을 맞으면 용접 부위가 어김없이 깨져서, 전차가 못 쓰게 됐다.


쿠빙카 시험장에서 처절한 복수(?)를 받은 티거2


티거2는 훨씬 가볍고 싼 티거 1보다 덜 위협적이며, 도대체 왜 생산 결정을 내렸는지 의문스럽다는 게 테스트의 결론이었다.


쿠빙카에서 관통 테스트를 받은 티거2의 장갑판


참 많이도 쐈다.


그러나 이 소련 테스트의 타당성은 많은 논쟁을 불렀다. 아주 가까운 거리에 엄청난 수의 포탄을 1량에 연발 사격한 것이다. 맞을수록 장갑은 약해져 결국 관통이 될 것이다. 더욱이, 소련은 전차 변속기를 제대로 유지할 수 없었다. 503 SS 중전차대대는 1945년 1월에서 4월 사이 약 500 킬(kill)을 달성하면서, 45량의 티거2를 잃었는데, 대부분 기계 고장이나 연료 부족으로 승무원들이 버리고 부순 것이다.

생존 차량

전쟁 느즈막에 만들어진 덕에 생산량은 더 적었지만 티거1보다는 훨씬 많이 살아났다. 유일한 주행 가능 차량은 프랑스, 소뮈르의 기갑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그 전차는 양산형 포탑을 탑재했으며, 입장료만 내면 접근 가능하다. 다음은 다른 생존 차량이다.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영국, 도싯. 티거 2 (포르셰 포탑) 실내 전시. 입장료로 접근 가능. 연철로 만든 2호 시험제작차량으로 실전에 나가지 않았다.
  • 보빙턴 전차 박물관. 티거 2 (양산형 포탑) - 슈리븐햄의 방위 아카데미에서 대여 받음.
  • 쿠빙카 전차 박물관,러시아. 티거 2 (양산형 포탑), 포탑 넘버 002(502)의 지휘 전차 추정. 소련군이 오글레도프에서 노획. 일반인 접근은 제한. 외국인은 3주전 미리 승락 받아야.
  • 12월 44 박물관, 라 글레즈. 벨기에. 일부를 시멘트로 복원해 야외 전시 중이다. 차체 넘버 280273, 1944년 10월 생산. 포탑 넘버 213. 501SS 중전차대대 차량. 1944년 12월 12월 24일 라 글레즈 La Gleize에 버려진 것이다. 포신의 앞 1/3은 판터의 포신으로복원했다. 진흙받이도 복제품이다. 내외장품은 떨어져나가고 토션바도 부서졌다. 엔진과 변속기는 남아있다.
  • 영국 방위 아카데미. 슈리브넘,영국. 티거2 (양산형 포탑)는 군사 수집관에 있어 일반인은 보통 접근 불가.  501 SS 중전차대대 차량. 차체 넘버280093, 포탑104, 복잡한 지머릿 코팅 처리. 11 기갑사단 23 경기병대 로버트 하사관이 셔먼 전차로 격파한 것이다.사실, 그전에 궤도와 최종 동력계통이 손상된 티거2를 승무원들이 버리고 달아난 것이다.그러나 죽어가는 독일 전차를 확인 사격하는 것은 연합군의 정책이었다. 무 밭에서 포탑이 90도 돌아간 채 찍힌 사전은 유명하다. 현재 보빙턴 박물관에서 전시 중이다. 엔진이 없다.
  • 독일 기갑 박물관, 문스터,독일. 티거2 (양산형 포탑) 실내 전시. 입장료로 볼 수 있음. 101 중전차대대.차체 280101. 포탑 121.
  • 패튼 기갑 기병 박물과, 포트 녹스미국. 티거 2 (양산형 포탑). 차체 280243, 1944년 9월 생산. 포탑 332. 501 SS 중전차대대. 트루아 퐁 TroisPont 근처에 버려진 걸 1944년 12월 24일 미군이 주웠다. 뒤에 매릴랜드 애버딘 시험장으로 옮겼다. 마지막으로 옮긴 게패튼 박물관. 좌측면은 교육 목적으로 1940년대 말 애비딘 시험장에서 잘라냈다.  장갑판을 고칠 비용이 엄두가 안나 복원은무산됐다.
  • Schweizerisches Militärmuseum Full, 스위스. 티거2 (양산형 포탑). 이전에 툰 전차 박물관에서 전시하던 걸 대여 받아 전시 중. 장기간에 걸쳐 주행 상태로 복원할 예정. 전후 프랑스가 스위스에 기증한 것이다. 차체 280215. 506 중전차대대.
  • 기갑 박물관, 소뮈아, 프랑스. 티거 2 (양산형 포탑) 1량이 원조 티거 1량과 같이 전시 중.
  • 케빈 휘트크로프트 콜렉션, 레스터셔,영국. 케빈 휘트크로프트는 개인 수집가다. 티거 2 완전 복원 재생 작업에 나설 참이다. 이 프로젝트는 여러 티거 2의 부품을모우고, 일부는 새로 만들 참이다. 부품 중 70-80%는 진품이어야 하고 더욱 많은 부품들이 소재가 알려지고 있다 한다. 전면경사 장갑판, 88미리 주포, 1/3 후방 동체의 일부, 한 세트의 궤도, 좌측명 장갑판의 2/3 등이 진품으로 확인됐다. 이프로젝트의 목표는 주행 가능한 완전한 티거2다.
  • 망트라졸리 Mantes-la-Jolie,프랑스. 다소간에 고철 상태의 티거2 (양산형 포탑) 913 지방도로 아래 묻혀 있다. 포탑의 일부는 2001년 제한적인 검사발굴로 발견됐다. 재정난으로 추가 발굴은 멈춘 상태다. 발굴 후에 벡생 Vexin 전투 기념물에 쓸 티거2로 복원할 계획이다.

참고 자료

  1. ^ United States Medium tanks (scroll down to Main Gun Performance Comparison table)
  2. ^ Jentz, Thomas L. (1993). King Tiger Heavy Tank 1942-1945
  3. ^ Wilbeck, C. Sledgehammers: Strengths and Flaws of Tiger Tank Battalions in World War II

번역 자료: http://en.wikipedia.org/wiki/King_tiger

Copyright (c) 2009, 정만국, daramzui@gmail.com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판 또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발행한
이후 판의 규정에 따라 본 문서를 복제하거나 개작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변경 불가 부분이 없으며, 앞 표지 구절과 뒷 표지 구절도 없습니다.
본 사용 허가서의 전체 내용은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부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덧글

  • ghistory 2009/03/24 18:34 # 답글

    잡갑→장갑.
  • 뽀도르 2009/03/24 18:58 #

    이런 오타가...
  • ghistory 2009/03/24 18:39 # 답글

    소뮈아→소뮈르?

    La Gleize: 라 글레즈.

    Shrivenham: 슈리브넘?(가령 버밍햄이 아니라 버밍엄으로 토튼햄이 아니라 토트넘으로 표기)

    TroisPont→트루아퐁(Trois-Ponts)?

    http://en.wikipedia.org/wiki/Trois-Ponts 참조.
  • 뽀도르 2009/03/24 18:58 #

    소뮈르는 또 실수를 -_-...
  • ghistory 2009/03/24 18:44 # 답글

    Mantes-la-Jolie: 망트라졸리.

    Vexin: 벡생.

    휘트크로프→휘트크로프트.

    레스터리셔→레스터셔.

    http://en.wikipedia.org/wiki/Leicestershire 참조.
  • 뽀도르 2009/03/24 18:59 #

    언제나 감사합니다 ^_^)
  • 미친과학자 2009/03/24 18:58 # 답글

    티거2의 포방패에 전차 철갑탄이 박혀있는 사진(....)을 본적이 있었는데 말입니다만.
    어쨌거나 티거2도 물량앞엔 장사 없...;;;;
  • 뽀도르 2009/03/24 19:00 #

    스탈린의 금언이 다시 생각나는군요. 'Quantity is quality' -_-;
  • ghistory 2009/03/24 19:00 # 답글

    헨셸과 포르셰이→헨셸과 포르셰가.
  • 뽀도르 2009/03/24 19:01 #

    헉 이런 실수도..
  • ghistory 2009/03/24 19:04 # 답글

    무우 밭→요즘 표준어로는 '무밭'.
  • 뽀도르 2009/03/24 22:41 #

    그새 표준어가 바뀌었군요.
  • ghistory 2009/03/24 22:43 #

    1989년에 바꾸었다고 기억합니다.
  • ghistory 2009/03/24 19:09 # 답글

    젤로프 고원→젤로프 고지. 고원이라면 산악지대의 평탄한 대지형을 지칭하는데, 그 지역은 대산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고원은 영어로 plateau입니다만.
  • 뽀도르 2009/03/24 22:42 #

    베를린 근처에 알프스 산맥이 있는 것도 아닐테니 고원은 아니겠군요-_-;
  • dunkbear 2009/03/24 20:24 # 답글

    생존 차량들이 꽤 많은 편이네요...
  • 뽀도르 2009/03/24 22:43 #

    생산량이 500량이 채 안 돼서 별로 안 남았으리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많이 남아 있더군요.

  • 콜러스3세 2009/04/10 10:37 # 답글

    짧은 함정이라고 하니 뭔가 좀 어색하네요-_-;;;
    그냥 숏트랩 현상이라고 적어주심이 나을 듯 합니다.

    포르쉐타입(헨쉘 초기형 포탑이라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이렇게 쓰니...) 포탑의 전면 하부에 포탄이 맞으면 둥근 전면 하부의 형상때문에 포탄이 미끌리면서 얇은 차체 상부를 그대로 뚫어버리는 경우가 왕왕 발생한지라;;

    역시 둥근 포방패를 사용한 판터에서도 이러한 숏트랩 문제가 지적되어 판터G형에서는 포방패 하부를 직선으로 보강한 친타입(chin. 말 그대로 포방패 하부에 턱을 만들어 준 거니...) 포방패를 도입했습니다만 친타입과 기존의 둥근 포방패가 뒤섞여 종전시까지 생산되었습니다.
  • 뽀도르 2009/04/10 11:01 #

    짧은 함정이라니 좀 그렇지요 -_-;; 그래서 따옴표 처리를 하긴 했습니다만.
    영어도 병기하겠습니다.

  • ㅇㅅㅇ 2009/09/03 21:43 # 삭제 답글

    저사진한장만퍼갑니다.
  • 뽀도르 2009/09/03 22:12 #

  • 502중전차대대 2015/08/11 21:19 # 삭제 답글

    티거투를 차체로한 자주포는 그릴래가 아니라 G.W tiger 입니다
  • 뽀도르 2015/08/12 09:41 #

    감사합니다 수정합니다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