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호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Jagdpanzer V Jagdpanther (Sd.Kfz. 173)
(야크트판처 =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 사냥하는 판터. 5호 야크트판처 야크트판터 ^_^)
야크트판터( 사냥꾼 판터 )는 2차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제조한 구축 전차이다. 제식명칭Sd.Kfz.173으로 판터 전차의 차체에 전면과 측면 장갑을 위로 연장, 넓은 전투실을 갖춘 구축전차다. 개발 당시는 중돌격포로 불렀다. 많은 군사 사가들은 2차 대전 최고의 구축 전차로 평가한다.
개발 Development
1942년 11월 목제 모크업이 만들어졌으나 전체 디자인은 최종적 디자인과 매우 달랐다. 1943년 1월 5일 다임러-벤츠는 88mm 돌격포의 완료 전 단계 설계를 마치고 3월 1일야크트판터의 최종 설계를 완료했다.

야크트판터는 훌륭한 인터폰 시스템을 갖추고 Fu 5 USW 송신기와 Fu 2 USW 수신기 세트를 장비했다. 상당수의야크트판터에 장거리 30 와트 Fu 8 송수신기 세트와 추가 안테나를 장비하여 중대 및 사단 지휘전차로 운용했다.
1944-45년 크룹 사는 후방의 상부 구조물에 88mm Pak 43/1 L/71포를 탑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128mm Pak 80 L/55포를 야크트판터 II에 장비하는 프로젝트도 병행했다. 이 프로젝트 모두 종전으로 무산됐다.

128mm 탑재형 야크트판터 2의 모형 - 티거 2와 비슷한 바퀴 등 부품 공유를 의식했군요.
야크트판터 1개 부대가, 일부 판터에도 장비된 것과 동일한 적외선 암시暗視 장치를 장비했다는 설이 있다.
생산 Production

생산 기간 | 생산량 |
1943년 12월 | 1 |
1944년 1월-12월 | 226 |
1945년 1월-3월 | 198 |

야크트판터는 판터의 변종 중 가장 성공한 차량으로 드러났다. 이 괴수는 우수한 장갑으로 보호되고, 700마력의 마이바흐 엔진은45톤의 차량이 최고 50km/h의 속도를 낼 수 있게 했다. 무엇보다 뛰어난 설계의 결과, 승무원들은 기계 고장을 우려할필요가 없었다. 야크트판터가 적 장갑 차량과 교전할 위치를 확보했다면, 적군은 도주가 최상책이었다. 그러나 전황을 뒤집기엔 너무늦게 너무 소수가 투입됐다.
'88미리 고속포, 비교적 두껍고 잘 경사진 장갑, 평균 이상의 속도 등은 구축 전차 중 두려운 존재로 만들었다. 독일은 판터의 생산이 순조롭자 곧 야크트판터의 대량 장비도 도모하고 있다'고 영국 정보 당국은 분석했다.
60발의 포탄과 1200발의 기총탄을 탑재한 야크트판터는 전장에서, 특히 방어전에서 매우 위협적인 적수였다. 뒤에 근접 방어용 수류탄과 승무원 호신 용 MP40 기관단총도 장비했다.
야크터판터는 중 대전차 대대에 배속돼 주로 동부 전선에 투입됐다. 그러나 상당수가아르덴느 공세에 집중되었다. 앞선 노르망디 전투에서는 극소수만 출현했는데, 독일 제 654 중重 대전차 기갑 대대가 12량 가량의야크트판터로 영국 부대에 맞섰다.
1944년 7월 30일 노르망디의 레 로지 Les Loges에서 독일 제 654 중重 대전차 기갑 대대 chwere Panzer Jaeger Abteilung 654 의야크트판터 3량이 영국 제 6 근위 전차 여단을 기습하여 10-11량의 처칠 전차를 2분만에 파괴했다. 동시에 영국 제 6 근위전차 여단도 반격을 가해 2량의 야크트판터의 트랙이 파손되자 승무원들이 차량을 버리고 달아났다. 나머지 1량은 후퇴했다.

야크트판터는 중 대전차 기갑 대대로 독립적으로 조직되었다. 각 대대는 각각 14량의 3개 중대와 3량의 중대 사령부 전차로 구성했다. 이들은 기갑 사단의 일부로 운용됐다. 처음 생산된 야크트판터는 제559, 제654 중저격 기갑대대에 장비돼 1944년 6월서부전선에 도착했다. 제654 대대만이 42량으로 완전 편제되었으며, 제559는 10-14량만 장비했다.
대다수의 야크트판터는 동부전선에 투입되고, 1944년 여름의 노르망디에는 1개 대대만 전개됐다. 동부전선에서 빼돌린 야크트판터를포함, 아르덴느 공세의 돌파 작전에 가장 많은 수가 집중됐다. 1944년 12월 6개 대대의 51량의 야크트판터가 동원됐다.
소수의 야크트판터가 무장친위대에 배속되었다. 제2 SS 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제9 SS기갑사단 호헨슈타우펜, 제10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제6 기갑군 소속)이 1945년 1월 포위된 부다페스트 주둔군을 구출하기 위해 각각 1개 중대를장비했다. 이들 사단에 원래 배속된 42량 중 12량만 살아남아 4월 1일오스트리아의 빈 방어전에 투입됐다. 1945년부터야크트판터는 제 7 기갑사단, 총통 척탄병 연대, 그외 1개 기갑여단 의 기갑 대대에 장비돼 일반 전차의 대용으로 쓰였다. 구축전차를 일반 전차 대용으로 쓰는 건 무리지만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종전 후 상당수의 프랑스 전차 부대가 야크트판터, 판터, 베르게판터( 파손 전차 회수용 전차) 등을 1950년까지 운용했다.
88mm포의 막강한 화력, 뛰어난 기동성, 탐지가 어려운 낮은 차체 등으로 야쿠트판터는 잘 운용만 된다면 공포스런 병기였다. 장갑,화력, 기동성의 조화가 뛰어난 2차 대전 최고의 구축전차지만 전황을 되돌리기엔 너무 늦게 출현했다.
중량 | 45500kg |
승무원: | 5 명 |
엔진 | Maybach HL 230 P 30 / 12-실린더 / 700마력 |
속도 | 도로 : 46km/h 크로스컨트리: 24km/h |
행동거리: | 도로: 210km 크로스컨트리: 140km |
연료 탑재량 | 700 리터 |
길이 | 6.86m (포 제외) 9.86m (포 포함) |
너비 | 3.28m (에이프런 제외) 3.42m (에이프런 포함) |
높이 | 2.51m |
무장 | 88mm Pak 43/3 L/71 & 1 x MG34 7.92mm (1 x MG34 - 동체) |
탄약 | 88mm - 57-60 발 7.92mm - 3000발 |
장갑 (mm/경사각도) | 전방 상부: 80/55 차체 전방: 60/55 측면 상부: 50/30 차체 측면: 40/0 후방 상부: 40/35 차체 후방l: 40/25 상부 상판 / 바닥: 25/83 + 16/90 차체 상판 / 바닥: 25-16/90 포방패: 100 |

30도 경사 장갑에 대한 거리 별 관통력 | |||||
거리 | 100m | 500m | 1000m | 1500m | 2000m |
전차 유탄 Panzergranate 39 | 203mm | 185mm | 165mm | 148mm | 132mm |
전차 유탄 Panzergranate 40/43 | 237mm | 217mm | 193mm | 171mm | 153mm |
전차 유탄 Pzgr.39 (APCBC) - Armor Piercing Composite Ballistic Cap | |||||
전차 유탄 Pzgr.40/43 (APCR) - Armor Piercing Composite Rigid (Tungsten Core) |
생존 차량 Survivors
다음 잔존 야크트판터는 주행 가능하게 복원됐다. 뮌스터의 독일 기갑 박물과 콜벤즈는 각각 1량의 주행 가능한 야크트판터를 갖고있다. 영국의 SDKFZ 재단도 파손된 2량을 합쳐 주행 가능한 1량으로 복원했다. 남은 고철도 복원 예정이다.
다른 7량의 잔존 차량은 다음 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 Imperial War Museum, London
- Musée des Blindés in Saumur, France
- United States Army Ordnance Museum, Aberdeen, Maryland
- Bovington Tank Museum, UK
- Kubinka Tank Museum, Moscow, Russia
- Sinsheim Auto & Technik Museum, Sinsheim, Germany
- Panzermuseum Thun, Thun, Switzerland

덧글
오래 전에 아카데미에서 1,500원짜리로 나와서 조립한 추억의 기종이네요. ㅎㅎ
하교 시간에 문방구 주인 아저씨가 조립해 놓은 모형 전차들을 보는 게 즐거움의 하나였지요.
브라운스바이히→브라운슈바이크?
동프러시아→동프로이센.
데 로지→드 로주.
프룬트스베르크→프룬츠베르크.
비엔나→빈.
문스터의 독일 기갑 박물과 콜벤즈→뮌스터의 코르벤츠 도이칠란트기갑박물관?
데 로지는 레 로지의 오타 -_-;
수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거 컴퍼니오브히어로즈에서 셔먼 파이어플라이가 한방 맞으면 HP가 반이나 깎인답니다.
글 잘 봤습니다.^^
고로 매복이 주된 교전 방식이니 포탑의 필요성은 배제된 것이죠
그리고 돌격포 아닙니다. 용도부터 틀려용